올해 부실징후기업 전년 대비 46곳 증가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최나영 기자] 올해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지난해보다 46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자료에 따르면, 올해 채권은행들이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한 기업은 모두 231곳으로, 지난해(185곳)보다 46곳 늘었다.
신용위험평가는 부실 위험 정도를 따져 기업을 A~D의 4개 등급으로 나누고, 이 가운데 C~D등급은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한다.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 대상이다.
C등급은 118곳으로 전년 대비 34곳, D등급은 113곳으로 12곳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중 부실징후기업은 9곳으로, 전년 대비 7곳 늘었다. 중소기업은 222곳으로, 같은 기간 39곳 증가했다.
부실징후 기업 수는 코로나 기간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했다. 금감원은 “지난해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과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거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이 22곳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상품중개가 19곳,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이 각각 18곳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권은 부실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가 올해 9월말 기준 2조7000억원 수준으로 크지 않아 국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라 은행권이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충당금은 약 3500억원으로 추정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자구 계획 전제 아래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이나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극복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