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정연,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한계기업 분석' 보고서
“내년 이후 부실 본격화 우려…선제적 구조조정 나서야”
[데일리한국 김하수 기자] 국내 건설사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투자와 부채를 늘려왔는데, 지난해부터 이어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급증하면서 부실 위험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건자재 가격이 지속해서 상승한 것도 건설업계의 수익성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오름세를 지속해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 것으로,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되며,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정의한다. 또 3년 연속 1 미만인 업체는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지난해 ‘취약기업’으로 분류된 건설사는 929곳으로, 건설업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국내 건설기업 중 ‘한계기업’은 387곳으로 전체의 18.7%를 차지했다. 이는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15.8%)보다 1.9%포인트 늘어난 규모다. 특히 대내외 변수에 더욱 취약한 중소기업의 상황이 악화됐다. 대기업의 경우 한계기업 수가 2020년 46곳에서 지난해 54곳으로 소폭 늘어나는데 그친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259곳에서 333곳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1.5%포인트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순이익률 역시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해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며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 부도 및 흑자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