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건설업 '4월 위기설'…정부·금융당국 일축에도 현장선 '위기감 팽배'

PF만기 4월에 집중...브릿지론 자금 조달 실패 가능성 커져 대통령실 "가능성 없다"...금융당국도 적극 진화 나서

2024-03-29     이연진 기자
사진=연합뉴스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이연진 기자] 4월 총선 이후 자금난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른바 '4월 위기설'이 대두되면서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4월 위기설'은 근거 없다며 부인하고 있어 진실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2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후 연장됐던 PF만기가 4월에 집중되면서 일부 업체들은 자금 조달에 실패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예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내달 10일 총선 이후 정부가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도 돌고 있다. 

4월은 2021~2022년 착공한 건설현장 준공이 몰리는 시기로 '착공전PF'(브릿지론)가 본PF 리스크로 확대되는 시기다. 특히 최근 고금리와 급격한 공사비용 상승이 자금 압박을 더욱 가중하고 있다. 

실제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건설사 PF채무보증 규모는 지난해 9월 기준 28조원으로 2017년(14조6000억원)에 비해 두배 가까이 늘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살펴보면 지난해 이후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PF 관련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증권사는 지난해 2분기 연체율이 17.3%까지 치솟는 등 2020년(3.4%)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 증권사 연체율은 다만 지난해 4분기(13.7%) 소폭 감소했다. 저축은행도 연체율이 지난해 4분기 6.9%까지 상승해 2021년(1.2%)보다 6배 가까이 증가했다. 캐피탈사 등 연신전문업체의 연체율도 지난해 말 기준 4.7%까지 상승해 2020년(0.3%) 대비 15배 이상 치솟았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PF사업장 부실 등으로 우발부채가 현실화하면 자기자본에 비해 보증규모가 큰 일부 건설사는 부채비율이 상승해 재무건전성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4월 위기설의 이유는 매년 3~4월 유동성 랠리가 종료되며 자금 수급이 타이트해지기 때문"이라며 "선제적인 정책이 많이 시행됐지만 취약해진 건설·부동산 시장 펀더멘털을 고려하면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부실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정부와 금융당국은 4월 위기설을 일축하며 이슈 진화에 나서고 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건설업계 일각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따른 4월 위기설이 나오는 데 대해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했다.

성 실장은 지난 24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정부에서 계속 관리해나가는 과정에 있다"며 "브릿지론 과정에서 혹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감독 당국에서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역시 지난 2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부동산 PF 문제에 대해 정부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소위 '4월 위기설'은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이라고 해명했다.

박 수석은 "정부는 질서 있는 연착륙이라는 일관된 목표 아래 정상 사업장에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한편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은 재구조화 또는 정리하는 방안을 지속 추진 중"이라며 이미 시행 중인 시장안정프로그램(85조원+α)을 조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PF 보증 한도를 종전 25조원에서 34조원으로 9조원 확대한다. PF 총 대출잔액 135조6000억원 가운데 약 25%에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사업장에 4조원 규모의 PF 보증이 신설된다.

하지만, 한국신용평가 등의 기관을 통해 '4월 위기설'이 흘러나오고 있는 만큼 당분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