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수소경제위, 동해·삼척·포항 수소특화단지-수소도시 2.0 추진
국내 수소산업 성장거점 육성…수소도시 팩키지 해외진출도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 정부가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1일 서울 채빛섬에서 개최해 △수소특화단지 지정 △액화수소 운반선 개발 △수소도시 2.0 추진을 논의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위원회에서 정부는 동해시와 삼척시에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포항에 수소 연료전지발전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LNG선박 기술을 응용해 액체수소 운반선도 개발하고 수소트램, 수소트럭 등 수소교통 인프라도 확충해 기존 수소도시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 동해·삼척·포항 수소특화단지 지정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때 클러스터 후보지로 5개 지자체가 신청했는데 이 가운데 강원 동해·삼척과 경북 포항이 예타를 통과했다.
2020년 2월 수소법 입법을 계기로 수소특화단지와 클러스터을 통합해 ‘수소특화단지’ 개념이 등장했다.
위원회는 2024년 5~6월에 수소특화단지 지정공모를 실시해 동해·삼척을 액화수소 저장·운송 특화단지로, 포항을 발전용 연료전지 특화단지로 선정했다.
동해·삼척에는 2024~2028년 간 3177억 원을 투입해 63개 기업의 입주공간을 확보하고 시험·평가·실증을 위하 핵심 기반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민간이 활발히 투자를 확대하는 시점에서 액화수소 생태계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포항에 발전용 연료전기 관련 기업이 집적하도록 소부장 연계 20개사를 육성해 연료전지 부품·소재를 100% 국산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4~2028년 간 1918억 원을 투입해 30개 기업이 입주할 공간을 마련하고 시험·평가·실증 핵심 기반시설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앵커기업에 규제개선과 인허가 신속 지원 등 혜택을 부여해 기업 유치를 도울 계획이다. 아직 특화단지로 지정된 지자체가 없는 청정수소 생산과 수소모빌리티 특화단지지정도 추진한 계획이다.
◇ 액화수소 운반선 개발로 초격차 실현
액화수소 운반선은 기체 수소를 영하 253°C의 극저온상태로 액화시켜 기체수소 대비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운송효율을 10배 이상 높일 수 있는 미래 선박이다.
위원회는 한국이 보유한 LNG선박 기술을 응용해 액화수소 운반선을 확보해 신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2024년 384억 원 투자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꾸준히 예산을 투입해 액화수소 저장시스템, 수소 추진시스템, 핵심 기자재 등 소부장 원천기술을 선점할 계획이다.
액화수소 기자재 시험센터를 2024~2028년 간 거제에 건설해 강원·경암 범용 액화수소 센터와 연계할 계획이다.
선박의 경우 처음 2000㎥급에서 출발해 2030년 초 4만㎥급, 2040년 16만㎥급 운반선으로 규모를 키울 계획이다.
◇ 수소도시 2.0 추진하며 블루·그린수소 확대
정부는 2020년부터 울산, 전주·완주, 안산을 수소시범도시로 지적해 육성했다. 2023년부터 수소도시 12개를 새로 지정해 육성하고 있다.
수소도시 2.0은 그레이수소 중심의 기존 수소도시와 달리 블루·그린수소를 다룬다. 기존 수소도시가 건물, 충전소 등 단위사업에 수소를 적용했다면 수소도시 2.0은 수송, 산업, 건물, 발전 등 도시 구성요소 전 분야에 수소를 확용한다.
위원회는 기존 수소도시의 경우 2040년까지 블루·그린수소의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280km의 수소배관을 구축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소도시 2.0을 바탕으로 Next, Level 수소도시로의 도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소 도시와 수소산업단지, 수소 터미널, 수소 모빌리티를 한데 묶어 팩키지로 해외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려고 한다.
이를 위해 수소도시법을 제정하고 한차원 높은 수소안전기술을 개발하며 중앙정부의 부처를 넘나드는 수소 거버넌스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