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0클럽 동시 달성...HMM·네이버·에스디바이오센서·셀트리온·씨젠 ‘초알짜’
매출 1조 이상 기업 중 ‘영업익률 30%·순익률 30%’ 가입 ‘열등생서 우등생 변신 HMM’ 민영화 1순위 거론돼 관심 CXO연구소 “매출 1000억 알짜 29곳중 13곳이 제약업체”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민병무 기자] ‘30-30 클럽’을 동시에 달성한 HMM, 네이버, 에스디바이오센서, 셀트리온, 씨젠이 대한민국 초알짜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5곳은 매출 1조원이 넘는 대기업에 속하면서도 지난해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었고,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은 모두 30%를 넘었다. 과거 부실기업이었으나 지금은 알토란 기업으로 변신한 HMM은 윤석열 정부에서 민영화 1순위로 거론되고 있어 향후 회사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될 지 관심이 모아진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1년 국내 매출 2000대 상장사 중 초알짜 기업 현황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매출 상위 2000대 상장사 중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고 영업익률과 순익률이 동시에 30%를 넘는 기업은 코스피 7곳, 코스닥 22곳 등 모두 29곳이다. 2019년 16곳, 2020년 22곳보다 많아진 숫자다.
매출 1조 클럽 대기업 중에서는 5개 회사가 초알짜 기업군에 포함됐다. 이 중에서도 매출 10조원이 넘는 슈퍼기업은 해운업체인 HMM이 유일했다. 이 회사의 작년 매출은 13조6646억원 수준인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7조3568억원, 5조3485억원이다. 영업이익과 순익 금액만 놓고 보면 지난해 국내 상장사 중 두 항목 모두 전체 3위를 기록할 정도로 회사 곳간이 두둑해졌다. 영업익률(53.8%)과 순익률(39.1%) 항목에서도 30%를 훌쩍 뛰어 넘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도 70.9%로 낮아 재무건전성도 양호했다. 통상적으로 제조 및 서비스 업체 등에서는 부채비율이 200% 이하면 재무구조가 우량한 기업군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HMM의 경우 부채보다 자본이 더 많아 부채비율이 100%를 밑돌 정도로 재무건전성이 우수했다.
눈여겨 볼 대목은 HMM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년 연속으로 초알짜 기업 타이틀을 이어갈 가능성이 농후해졌다는 점이다. 올 상반기 영업익률과 순익률만 놓고 보면 각각 61.3%, 60.7%를 기록했다. 올해 1~6월까지 6개월 간 쌓아올린 순익(5조 9828억원)은 이미 작년 한해 벌어들인 금액을 초월했고, 같은 기간 벌어들인 영업이익(6조445억원)은 작년 1년 동안 벌어들인 금액의 82%에 달했다.
HMM은 과거 현대그룹 계열사인 현대상선에서 지금의 사명으로 변경됐다. 현재는 한국산업은행이 최대주주고, 2대주주 역시 한국해양진흥공사여서 실질적으로 정부가 지배하는 회사다. HMM이 호황 기조를 이어가다 보니 윤석열 정부에서 민영화 1순위로 꼽히는 기업 중 한 곳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한 때 ‘열등생’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지금은 ‘우등생’으로 달라진 HMM이 향후 국내 어느 기업에 매각될지, 아니면 정부가 지배력을 지속 유지할 것인지 중요한 갈림길에 놓인 셈이다.
◇ 에스디바이오센서‧씨젠‧셀트리온 3년 연속 초알짜 기업 도전
HMM을 제외하고 지난해 기준 매출 1조 클럽 중에서는 네이버(매출 5조186억원). 에스디바이오센서(2조8472억원), 셀트리온(1조6158억원), 씨젠(1조1485억원) 순으로 회사 규모가 컸다. 이중 네이버만 IT업체고, 나머지 회사들은 제약 관련 업체다. 4곳의 작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모두 30%대로 재무건전 상태는 최상급 수준을 유지했다.
매출 순위와 달리 영업익률 순으로 보면 씨젠이 50.1%(영업익 5757억원)로 가장 높았다. 에스디바이오센도 47.9%(1조3626억원)로 50%에 육박했다. 씨젠과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코로나19 진단 업체라는 공통분모도 갖고 있다. 이어 셀트리온은 44.4%(7171억원)로 40%를 상회했다. 제약 관련 업체 세 곳의 작년 순익률은 씨젠 40.6%(순익 4668억원), 에스디바이오센서 37.4%(1조660억원), 셀트리온 35.6%(5759억원) 순으로 높았다.
주목해볼만한 대목은 씨젠, 에스디바이오센서, 셀트리온의 경우 재작년과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3년 연속 초알짜 기업군 가입을 놓고 보이지 않는 자존심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중간 성적만 놓고 보면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상반기 영업익률과 순익률이 각각 45.5%, 38.4%로 3년 연속 초알짜 기업 타이틀에 한발 가까이 다가선 모습이다. 씨젠 역시 같은 기간 영업익률(39.7%)과 순익률(35.5%)이 30%를 상회하며 초알짜 기업 3연속 가입에 청신호가 켜졌다. 반면 셀트리온은 올 상반기 영업익률은 32.6%였지만, 순익률은 28.9%여서 하반기 실적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전망됐다.
IT업체인 네이버의 작년 영업익률과 순익률은 각각 31.1%(1조5587억원), 30.4%(1조 5247억원)으로 모두 30% 벽을 뛰어 넘었다. 지난해 기준 매출 1조원이 넘는 IT업체 대기업 중 영업익률이 30%를 넘은 곳은 크래프톤(38.1%)과 DB하이텍(32.8%)도 있었지만, 두 회사 모두 순익률이 30% 아래면서 부채비율도 100%를 넘어 최종 초알짜 기업군에 입성하지는 못했다.
네이버 역시 2년 연속 초알짜 기업에 고배를 마시기도 했다. 2019년과 2020년 2개년 영업익률은 35.7%, 34.9%로 30%를 상회했지만 순익률에서 2019년(28%)과 2020년(29%)에 30% 문턱을 끝내 넘지 못했다. 그러다 작년에 부채비율 100% 미만에 영업익률과 순익률 모두 30%대를 동시에 기록하며 매출 1조 클럽 IT업체 대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초알짜 기업 타이틀을 보유하게 됐다. 네이버의 올 상반기 영업익률과 순익률은 각각 28%, 31.7%를 보여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초알짜 기업군에 올라설 것인지도 관전 포인트로 부상했다.
◇ 초알짜 기업 29곳 중 13곳 제약업체…유통업체 중에서는 광주신세계 이름 올려
작년 매출이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 기업군 중에는 11곳이 재무 건전성과 내실 성적이 좋은 기업군으로 분류됐다. 이들 11곳 중에서도 제약 관련 업체만 6곳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매출 규모로 보면 SK바이오사이언스(9290억원), 엑세스바이오(4776억원), 휴마시스(3075억원), 랩지노믹스(2023억원), 파마리서치(1386억원), 클래시스(1003억원) 순으로 회사 덩치가 컸다.
6개 회사의 부채비율도 27~70% 내외 수준으로 100% 미만이었다. 영업익률 순으로 보면 휴마시스가 60.1%(영업익 1849억원)로 60%를 넘겼다. 이어 엑세스바이오 52.4%(2501억원), 랩지노믹스 52.1%(1054억원), 클래시스 51.5%(517억원), SK바이오사이언스 51%(4742억원), 파라리서치 38.1%(528억원) 순으로 영업익률이 높았다. 순익률에서는 휴마시스 47.2%(순익 1450억원), 클래시스 43.7%(438억원), 랩지노믹스 41.9%(846억원) 순으로 40%대를 기록했다.
IT 업체 중에서는 웹젠(매출 2863억원), 리노공업(2802억원), 더블유게임즈(2134억원) 순으로 회사 외형이 컸다. 이들 세 곳 중 지난해 영업익률로 살펴보면 리노공업이 41.8%(영업익 1171억원)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웹젠 37.4%(1071억원), 더블유게임즈 35.4%(754억원) 순으로 이어갔다. 이와 달리 순익률에서는 더블유게임즈가 58.7%(순익 1253억원)로 60%에 근접하며 최상급 수준을 기록했다. 이어 리노공업 37.1%(1038억원), 웹젠 30.4%(870억원) 순으로 30%를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 업체 중에는 광주신세계가 작년 매출 1699억원에 영업이익과 순익이 각각 605억원, 523억원으로 영업익률(35.6%)과 순익률(30.8%)이 30%대를 기록했고, 부채비율도 14.3%로 초알짜 기업의 조건을 갖췄다.
매출 1000억원 미만 기업군에서는 13곳이 합류한 것으로 파악됐다. 1000억 미만 매출 기업군 중에서는 제약 업체인 제놀루션의 영업익률이 56.7%(순익률 47.2%)로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코엔텍 49.3%(40%), 케어젠 48.5%(42.7%), 에코마케팅 45.4%(45.5%), 수젠텍 45.1%(46%) 순으로 영업익률과 순익률 모두 4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상장사 2000대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19년 5.2%에서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6.3%, 8.3%로 성장 추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매출 외형은 높아져도 이익은 다소 줄어드는 흐름으로 전개될 수 있다”며 “특히 일부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인건비와 판매 및 관리비 등을 줄이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려는 곳이 많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