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집값 20% 떨어지면 대출자 5% 집 팔아도 빚 못 갚아'

2022-12-22     김지현 기자
DTA는 자산 대비 부채 비율(Debt-To-Asset ratio)이고, DSR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Debt Service Ratio)을 의미한다. 자료=22일 발표된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캡처. 

[데일리한국 김지현 기자] 주택 가격이 올해 6월 말보다 20% 떨어지면 대출자 100명 가운데 5명은 집 등 자산을 다 팔아도 빚을 갚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부동산가격이 급격히 조정될 경우 금융부채 규모는 그대로인 상황에서 순자산 규모가 크게 줄어 가계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6월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가구 기준 자산의 82%가 주택 등 실물자산이다. 특히 금융 부채 보유가구의 실물자산 비중은 이보다 높은 86%에 달한다. 

한국은행은 주택가격이 크게 조정될 경우,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이 어려운 고위험 가구의 비중 변화 추이를 추정했다. 고위험 가구는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를 뜻한다. 

그 결과  각 가구가 보유한 주택자산의 가격이 2022년 6월말 대비 20% 하락시 고위험 가구 비중은 3.3%(2022년 6월말, baseline)에서 4.9%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9%에 해당하는 가구는 DTA는 100% 초과에 더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가계 뿐 아니라 부동산업·건설업 등 관련 업종 기업의 수익성 등 재무건전성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업성 악화로 부동산 PF대출을 상대적으로 많이 취급한 금융기관의 건전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이정욱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실거래가 기준으로 코로나 사태 이후 부동산 가격이 37∼38% 정도 올랐는데, 올해 11월까지 10.4% 떨어졌다"며 "아직 이 정도 하락은 금융기관이나 가계가 감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코로나 이후 상승률(37∼38%)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 15% 하락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서도 금융기관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건전성에 큰 위험은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