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면 맞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정부·여당 올해는 국회 통과 올인
“더는 늦출 수 없다...의료계 거부한다면 입법으로 처리할 것”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박재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던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정부와 여당은 실손의료보험금 청구 중계기관으로 보험개발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간소화를 반대하는 의료계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또 금융위원회는 대통령실에 올해 업무보고하며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추진 방안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민의힘은 전세사기 방지 6대 법안과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위한 보험업법 등을 중점 법안으로 정하고 2월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일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국민의 생활편의를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위한 보험업법’ 등을 중점법안으로 정해 2월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 의장의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관련 발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달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도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는 더는 늦출 수 없다”며 “의료계가 이를 거부한다면 입법으로 처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성 의장은 회의가 끝난 직후 이필수 대한의사협회 회장과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을 자신의 집무실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성 의장은 이 회장에게 “도저히 납득이 안 된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반대하는 제대로 된 이유를 어디 대보라”며 강하게 질타했고, 박 차관에게는 “정부가 의료계 입김에도 태도가 미온적이다”라며 “더 이상의 타협은 없고, 법안은 이제 무조건 ‘고’(go)다”라고 최후통첩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정부와 여당은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 도입의 최대 쟁점 중 하나인 보험금 청구 중계기관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아닌 보험개발원을 두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심평원에 대한 결사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의료계 입장을 반영하면서도 핀테크 등 민간 회사에게 중계 역할을 맡길 수 없다는 당정간 합의에 따른 대안이라는 분석이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가 윤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이었지만 지난해에도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공회전만했다. 이에 여당인 국민의 힘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번안 통과에 드라이브를 것 것으로 보인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는 병원이 환자 진료내역 등을 전자문서 형태로 중개기관을 거쳐 보험사에 보내 실손보험에 가입한 환자가 보험금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지난 2009년 국민권익위가 실손보험금 청구 절차를 개선하라고 권고했지만, 의료계의 반대로 14년째 국회에 계류된 법안이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 조사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미지급된 실손보험금이 총 7410억원에 달한다. 실손보험 국내 가입자 수가 4000만 명에 달하고 보험금 청구액이 1조원을 돌파했지만, 여전히 실손보험 청구 절차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찾지 않은 미지급 보험금이 넘쳐나고 있는 것이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가 윤 대통령의 대선 공략이었고, 정부 여당이 강하게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는 만큼, 이번만큼은 관련 법안이 국회의 문턱을 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미 금융위원회는 올해 업무보고에 청구 간소화 방안을 담았고, 한의사 단체인 대한한의사협회도 기존 반대 입장을 철회하고 찬성으로 돌아서면서 의료계 공조 체계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보험업계는 한의 비급여도 실손보험 보장에 포함시켜 한의사들도 이득을 보려는 계산이 깔려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의료계의 반발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협회들은 줄줄이 성명을 발표하고 법안 폐지를 촉구하며,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 대대적인 반대 투쟁까지 예고했다. 의료계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비급여 진료에 대한 간섭을 넘어 의료 자율성을 침해할 우려가 크고. 국민 편익을 핑계로 보험사들이 의료기관의 진료비를 통제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의료계는 비급여 진료가 공개되면 수익이 줄것으로 우려해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를 꺼려하고 있다”며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는 소비자 권익 보호와 실손보험 적자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책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