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KDB생명 인수' 단숨에 보험사 덩치 10위권...추가 자금 투입은 부담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 위한 인수 '수익성' 등 이유로 부정적 반응도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최동수 기자] KDB생명의 '새 주인 찾기'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나금융지주가 인수 의사를 적극적으로 나타내면서 산업은행의 매각 노력도 드디어 결실을 맺을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도 KDB생명의 영업조직을 확보해 하나생명을 키우고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넓히겠다는 심산이다. 하나생명이 KDB생명 인수를 확정하면 단숨에 보험사 자산 규모 10위권에 안착하게 된다.
다만 업계에선 하나금융의 이번 인수에 대해 부정적 시각도 존재한다. 다른 계열사에 비해 실적이나 규모가 저조했던 생명보험사의 덩치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인수 금액이 높고 KDB생명의 매물 가치도 현저히 낮아 인수 직후에도 위험성을 떠안게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은 KDB생명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나금융지주를 선택했다. 매각 대상은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이 보유한 KDB생명 지분 92.73%이며 예상 매각가는 2000억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 금호아시아나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칸서스자산운용과 함께 KDB생명(옛 금호생명)을 인수한 산업은행은 2014년부터 KDB생명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해 건전성을 개선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또 여기에 산업은행은 900억원 규모로 후순위채를 발행한 바 있다.
총 4차례에 걸쳐 KDB생명의 매각을 추진한 산업은행은 다섯 번째 도전 만에 보험사의 새 주인을 찾을 수 있게 됐다. 향후 하나금융은 6~7주간 실사를 진행한 뒤 산업은행과 매각가 등을 협상할 계획이다. 이 단계에서 지분매입 등 구체적인 인수조건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 부족한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 돌입
업계에선 하나금융그룹의 KDB생명 인수가 그간 약세로 평가받았던 보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고 있다. 하나금융은 보험사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보험 자회사의 저조한 실적은 상당 기간 유지됐다. 지난해 하나생명은 1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하나손해보험도 8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에 앞서 KB금융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이 각각 푸르덴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를 인수해 보험 계열사를 확대한 것과 같이 하나금융 역시 이번 인수로 보험 자회사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영업력을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지난해 취임사를 통해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던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역시 "보험 등 비은행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업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KDB생명 인수가 이뤄지면 하나금융 생명보험사의 덩치는 단숨에 커진다. 계열사인 하나생명의 자산총계는 5조3265억원으로 전체 생보사 중 17위에 해당하지만 17조1434억원의 자산을 가진 KDB생명과 합병하면 10위권으로 올라설 수 있다. 이는 흥국생명(26조4898억원) 바로 밑이다.
업무와 관련된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 역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방카슈랑스(은행에서 파는 보험 상품) 채널과 저축성 보험에 강점을 가진 하나생명과 설계사 조직을 기반으로 한 보장성 보험 위주의 영업망을 갖춘 KDB생명이 포트폴리오를 합치면 영향력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
하나금융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며 "구체적인 부분은 시간이 좀 더 지나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수익성 등 이유로 '무리한 시도' 우려
다만 일각에선 이번 인수에 대해 △수익성 △영업 경쟁력 △추가 자본 확충 등을 이유로 '무리한 시도'가 아니냐는 부정적인 반응도 내놓고 있다.
지난 2010년 산업은행에 편입된 KDB생명은 2017년 761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이후 순이익을 끌어올리기 위해 여자 프로농구단 운영을 포기하는 등 노력을 이어갔음에도 적자와 흑자가 반복되며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행히 순이익은 매년 꾸준하게 상승했지만 전문가들은 지지부진한 수익성으로 인해 하나금융이 합병 이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영업 경쟁력 역시 기대만큼 높아지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KDB생명의 등록 설계사는 올해 3월 말 기준 836명으로 1000명이 채 안 된다. 설계사가 부족한 만큼 같은 기간 신계약 건수는 1만3793건으로 전체 신계약(63만7245건)의 2.1%에 불과했다. 영업 경쟁력이 높지 않아 인수 매력도가 낮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인수 후 추가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점도 위험 요소 중 하나다. KDB생명의 올해 1분기 말 신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은 101.6%로 금감원 권고치(150%)를 밑돈다. 이 비율은 보험업법이 정한 기준 100%에 근접하는 수치로 추가 자본 확충이 필요하단 의미다.
전문가들은 하나금융이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의 건전성을 맞추기 위해서는 1조5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자본성 채권의 부담을 낮추기 위한 자금조달과 영업조직 강화를 위한 비용까지 투입돼야 하는 상황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킥스가 100% 아래로 떨어지면 금융당국의 관리를 받게 되고 경영개선 권고, 경영 개선 요구, 경영 개선 명령 등 시정 조치가 이뤄진다"며 "이후에도 개선이 되지 않으면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되는 만큼 하나금융그룹이 KDB생명을 인수하면 투자는 물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