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보험 절판 마케팅... '트렌드'라기엔 소비자만 피해
어린이·독감 보험 등 연이은 절판 마케팅 불완전판매·재정건정성 등 부작용 우려 금융당국 절판 마케팅 가이드라인 필요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최동수 기자] 매년 반복되고 있는 보험사의 절판 마케팅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피해를 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보험 영업의 트렌드가 '절판'이라고 불릴 정도로 유독 관련 이슈가 많았다. 새 국제회계제도(IFRS17)로 인한 영업 실적 압박이 커지자 관련 마케팅이 더욱 과열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열 양상에 금융당국도 제재에 나섰지만 뾰족한 개선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관행'처럼 이어져 오고 있는 절판 마케팅에 대해 업계에서도 불완전판매 우려가 크고 보험사의 재정건전성에도 악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상품 정책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주요 손해보험사 임원 등을 불러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독감보험 등 일부 보험상품에 대한 과도한 보장한도 증액 경쟁을 자제하고 금감원의 제재로 인해 발생할 '절판 마케팅'에 대해서도 주의를 당부했다.
'절판 마케팅'이란 보험사들이 특정 보험 상품의 '절판'을 내세워 단기적 판매책을 꾀하기 위한 전략을 의미한다.
앞서 손보사들은 '독감' 관련 특약을 개정해 한시적으로 판매했다. 당초 10만~20만원에 불과했던 보장 금액이 50만원까지 오르면서 과열 양상을 보였고 일부 손보사는 100만원 보장 상품을 이벤트로 출시하며 논란을 키웠다. 이 과정에서 영업을 진행하던 보험사들은 해당 상품에 대해 '절판 마케팅'을 내세웠고 열흘 만에 3만8000건 넘는 계약을 거둬들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상품 판매를 하지 못하거나 상품 보장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 전에 그걸 마케팅 삼아 판매하고 있다"며 "보험사 간 경쟁이 절판 마케팅을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 관행처럼 이어진 절판 마케팅
보험업계에서 절판 마케팅은 마치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다. 10년 전 저축성 보험으로 시작된 절판 마케팅은 올해 '운전자보험', '단기납 종신보험'을 통해 더욱 성행했고 실제 판매 실적도 크게 늘면서 과열 양상까지 보였다.
올해 초 보험사들은 운전자보험에 대해 '변호사 선임 비용' 특약을 걸고 보장 경쟁을 벌였다. 당초 1000만~3000만원 수준에 불과했던 보장 금액은 5000만원, 1억원까지 높아지면서 이후 자기부담금 신설, 금감원 제재 가능성 등 여러 소문이 붙었고 절판 마케팅으로 이어졌다.
절판 마케팅 효과는 상당했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손보사 운전자보험 신계약은 총 555만921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5%(135만9220건) 늘었다.
또 지난 3분기에는 단기 환급률을 강조한 단기납 종신보험이 절판 마케팅 이슈에 올랐고 성인을 타겟으로 한 어린이 보험도 절판 마케팅 상품으로 취급되면서 절판을 내건 판매 마케팅이 극에 달했다. 더불어 최근 이슈가 된 독감보험 역시 '절판' 이슈에 사람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절판 마케팅에 대해 보험사나 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설계사 등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보험사들은 최근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되면서 상품 판매를 늘려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고 오히려 상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절판 마케팅을 이용하고 있다.
설계사들 역시 절판 마케팅을 영업 수단으로 활용하며 실적을 올리고 있다. 실제 일부 보험설계사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SNS를 중심으로 어린이보험 가입연령 제한과 관련한 기사 내용을 공유하거나 '지금 아니면 가입 못 해요' 등의 문구로 소비자의 가입을 권유하고 있다.
보험사 관계자도 "해당 마케팅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도덕적인 이슈 말고는 없다"며 "오히려 금감원의 제재가 마케팅을 더 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 불완전판매 등 소비자 피해로 귀결
보험사와 설계사, 금융당국의 방관 속에 절판 마케팅의 성행은 소비자들의 피해로 귀결되고 있는 상황이다. 마케팅에 현혹된 소비자들은 불필요한 보험을 추가로 가입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불완전판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설계사들이 빠른 시간 안에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절판에만 집중, 제대로 된 상품 설명 없이 계약을 이끌 수 있다는 것.
또 절판 마케팅을 위해 보험사들이 무리하게 추가한 보험 특약의 경우 보험금을 노린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와 과잉 진료를 부추길 수 있다.
보험사들에게도 절판 마케팅 리스크는 존재한다. 10년 전인 2013년 절판 마케팅으로 팔았던 고금리 저축성 보험의 만기가 내년에 집중되면서 보험사들의 해지환급금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만기가 되는 저축성 보험의 해지환급금이 20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보험사들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이에 안철경 보험연구원장도 "절판마케팅은 한국보험시장의 역사와 더불어 시행하고 있는 관행인데 장기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나 결국은 시장에 부메랑으로 돌아오게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금융당국도 연이은 절판 마케팅 논란에 "불건전 영업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험사 내부통제 강화를 지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지만 향후 대책이 부족해 난감한 상황이다. 그간 금융당국은 보험 소비자들이 필요한 혜택을 가진 보험에 가입하고 보험사들의 상품 개발을 촉진한다는 차원에서 업계의 자율성을 존중해 왔는데 보험사 간 경쟁이 치열해 그 취지가 퇴색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현재 금융당국도 상품 정책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절판 마케팅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