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AI 생활 혁명①]'전격 Z작전' 현실로…차와 대화하는 시대

생성형 AI 통한 ‘차 내 비서’ 실용화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숨 고르기'  

2024-01-24     안효문 기자
'전격 Z작전'에 등장한 '키트'의 모델이 된 3세대 폰티악 파이어버드. 사진=GM 제공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효문 기자] 1980년대 인기를 끌었던 외화 ‘전격 Z 작전’에서는 주인공의 말을 알아듣고 스스로 움직이거나 농담까지 주고받는 인공지능 자동차 ‘키트’가 등장한다. 상상 속 자동차를 구현한 허구였지만, 2024년에는 실제로 인공지능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일찌감치 음성인식 기술에 주목했다. 주행 중 라디오나 내비게이션을 조작할 때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고 말로 명령어를 입력하는 기능은 이미 수 년 전부터 상용화돼 많은 운전자들이 익숙하게 쓰고 있다.

초기 음성명령 기술은 사람의 말을 얼마나 정확히 잘 알아듣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성별, 연령, 지역 등 다양한 조건에서 음성명령을 오류 없이 빠르게 잘 이해하는 차는 시장의 호평을 받았다. 이후 네이버 클로바나 카카오 아이(i) 등 IT 기업들의 솔루션을 결합, 음악을 불러오거나 관심 있는 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등 활용도도 점차 넓어졌다.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 사진=안효문 기자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은 올해를 기점으로 한층 진화한 음성 비서 기능을 선보인다. 단순히 사람의 말을 인식하는 데서 벗어나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 차가 능동적으로 사람과 대화하고 운전을 돕는 시대가 열린다.

폭스바겐이 연초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선보인 ‘아이다(IDA) 음성 어시스턴트’는 AI 자동차의 현주소를 보여줬다. 이 회사가 공개한 영상에선 운전자가 탑승하며 "춥다"고 말하자, ‘아이다’가 "운전석쪽으로 난방 기능을 활성화하겠습니다"고 답하며 히터와 열선을 스스로 켠다. 단순히 명령을 인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맥락을 읽어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이다’의 강점이다.

메르세데스-벤츠의 ‘MBUX 가상 어시스턴트’나 BMW의 ‘지능형 개인 비서’도 유사한 기능을 지원한다. 운전자가 "배가 고파"라고 말하면 주변의 식당 정보를 안내하고, 도로가 막혀 약속시간에 늦을 것으로 예상되면 상대방에게 양해 전화를 걸 것을 제안하기도 한다. 

골프 GTI 콕핏 디스플레이. 사진=폭스바겐 제공

이러한 음성인식 기능들은 올해부터 양산차에 적용, 판매를 앞두고 있다. 자동차 회사들은 AI 음성인식 기능이 상용화되고 나면 폭발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생성형 AI의 특성상 많은 데이터를 수집, 학습할 수록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AI 비서가 연구소를 벗어나, 길 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차와 대화를 나누면서 기능이 한층 더 정교해지는 상승효과야말로 자동차 회사들이 꿈꾸는 ‘장밋빛 미래’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올해 AI 활용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음성 어시스턴트와 AI 내비게이션 등의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차와 현실을 연결하는 다양한 기술도 주목 받는다.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스마트싱스'와 연결, 차에서 집안 가전제품을 조작하거나 집에서 차와 접속할 수 있는 '카 투 홈/홈 투 카' 솔루션이 대표적인데, 이 역시 음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미베 토시히로 혼다기연공업 대표이사(CEO)가 지난해 10월 25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3 프레스데이에서 GM과 공동개발한 자율주행 셔틀 '크루즈 오리진'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안효문 기자

반면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독일과 일본 등 일부 지역에선 '레벨3' 자율주행차 판매가 부분적으로 허용됐지만, 국내에선 아직 법률 등 제반 규정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다. 레벨3는 조건부 자동화로, 특정 조건에서 시스템 운행하고 위험 시 운전자가 개입하는 단계다. 레벨4 이상은 사람이 운전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국토교통부가 2022년 9월 발표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에 따르면 2023~2025 레벨3, 2026~2030년 레벨4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응하는 관련 법제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법', '도로교통법', '자동차관리법', '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지원법' 등에서 자율주행차와 관련된 여러 사안을 정의하는 개정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운전자의 의무와 차량의 정의 등에서 기존 법률과 모순되는 사안이 남아 있어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산업계 입장이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는 탑승객이 운전에 개입하지 않거나 운전자가 없는 차인데, 현행 도로교통법에서는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조향장치와 제동장치, 그 밖의 장치를 정확하게 조작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해 자율주행차의 위법성 여지가 남아있다.

다만 기술적으로는 자율주행차 역시 양산 단계에 올라왔다는 평가다. 메르세데스-벤츠와 혼다는 각각 자국인 독일과 일본에서 레벨3 기술을 탑재한 기함(플래그십)을 판매한다. 리스 등을 통해 제한적인 물량을 공급한 것이지만, 자율주행차 시장이 실제 열렸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레벨3에 해당하는 HDP(Highway Driving Pilot) 양산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제네시스 G90, 기아 EV9 등 각 브랜드 최상위 차량에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다. 지난해 출시설이 돌았지만, 고속주행 안전성 등의 내부 평가를 추가적으로 진행한 뒤 적용 시점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EV9.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