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적자 또 적자' 디지털 보험사들 실적 개선 특명…'정착할 수 있는 지원책 필요'

영업적 한계 등 디지털 장점 못 살려 미니보험 위주의 포트폴리오가 역효과 장기보험 상품 강화로 실적 반전 노려

2024-03-25     최동수 기자
지난 1월과 2월 계약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1% 늘은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사진=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최동수 기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업황 악화에 직면한 디지털 보험사가 실적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당국의 보험 분야 규제 완화와 더불어 보험사 자체 인적 쇄신까지 연이어 진행하고 있지만 매년 성장세는 뒷걸음질치고 있는 상황이다. 영업적 한계, 보험 포트폴리오 부족 등 문제 해결도 늦어지면서 지난해 평균 순손실도 평균 500억원을 넘었다.

매년 적자가 쌓이면서 존폐 위기에 놓인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보험사들은 낮은 수익성을 극복하기 위해 운전자·건강보험 등 장기보장성보험 시장 공략에 나섰다.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업계의 논의도 다양해지면서 디지털 보험사의 성장과 혁신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디지털 보험사들은 오랜 기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신한EZ손보와 하나손해보험은 지난해 각각 78억원, 76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카카오페이손보는 지난해 3분기까지 순손실이 279억원에 달한다.

국내 1호 디지털 손해보험사인 캐롯손보도 2019년 9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뒤 2020년 382억원, 2021년 650억원, 2022년 795억원, 2023년 746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유일한 디지털 생명보험사인 교보라이프플래닛 상황도 비슷하다. 이 회사는 설립 당해 연도(2013년) 약 50억원의 적자를 시작으로 2020년 132억원, 2021년 159억원, 2022년 139억원, 2023년 220억원 등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보험사 관계자는 "매년 비슷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보험이라는 산업 자체가 대면으로 진행되는 영업이 가장 중요한데 그런 부분을 제외하고 상품을 판매하다보니 디지털 보험사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 대면 영업 없이 미니보험 집중하자 실적 악화

디지털 보험사들의 실적이 매년 더욱 악화되는 이유는 단기 소액(미니)보험 위주의 포트폴리오 때문이다. 비대면 시스템이 정착하고 MZ세대의 지출이 점차 늘어나면서 디지털 보험 판매는 늘었지만 디지털 보험사들의 주력 상품은 대부분 보험료가 1만원 미만이고 이마저도 일회성이거나 2~3일, 길어봤자 1~2년으로 단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장기적인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에 대해 박희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도 "소액·단기보험 중심의 판매가 이뤄져 보험사 수익성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또 일반 보험사들은 보험영업이익이 떨어질 경우 자산운용을 통한 투자 영업이익으로 이를 상쇄할 수 있지만 디지털 보험사들은 수취하는 보험료 규모가 적은 탓에 이마저도 어렵다. 이와 더불어 장기보험 특성상 고객에 충분한 설명과 이해가 요구되는 만큼 설계사의 대면 설득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보험 소비자들이 보험사들의 대면 영업 구조에 익숙하다는 점도 디지털 보험사에 악재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생명보험(99.1%), 손해보험(92.9%) 등 보험 상품은 오프라인을 통한 가입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다.

계속된 실적 부진에 디지털 보험사들은 인적 쇄신을 통한 돌파구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일부 보험사들은 대표 교체를 단행했지만 실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금융당국은 보험 산업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경쟁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1사 1라이선스'(동일 보험그룹 내 생명보험, 손해보험 각각 1개사만 진입) 허가 정책 유연화, 디지털·비대면을 통한 보험 모집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했지만 디지털 보험사들의 실적은 되레 역주행했다.

보험사 관계자는 "디지털 보험사도 국내 시장에만 한정하지 않고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다양한 방안을 매년 내놓고 있는 만큼 발전 가능성은 아직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대표 보험인 여행자보험. 사진=카카오페이손해보험.

◇ 수익성 극복 위해 포트폴리오 변경 돌입

결국 디지털 보험사들은 낮은 수익성을 극복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변경이라는 카드를 내세우며 근본적인 변화에 돌입했다. 미니보험 등을 잠시 내려놓고 운전자보험, 건강보험 등 계약서비스마진(CSM) 확보에 유리한 장기보험 상품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운전자보험을 내놓은 신한EZ손해보험은 올해 4세대 실손의료보험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력직으로 장기보험 계약운영기획 담당자를 채용하기도 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도 맞춤형 설계를 극대화한 운전자보험을 출시했다. 이는 카카오페이손보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내놓은 장기보장성 상품으로 무사고 시 가입자가 낸 보험료의 일부를 돌려주는 '안전운전할인 환급' 제도를 도입해 차별화했다.

자동차보험에 이미 강점을 갖고 있던 캐롯손해보험은 2022년 말 장기인보험 상품인 어린이보험을 선보였고 장기보험 경쟁력 확대를 위해 직장인 건강생활보험에 정신질환을 보장해 주는 '마음케어모듈'을 신설하기도 했다.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의 경우 이미 IFRS17에 맞춰 장기 보장성 보험 판매를 강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1월과 2월 신규 계약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1%나 늘었다.

이정우 연구위원은 디지털 보험사가 보장 공백을 완화하고 디지털 판매채널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이들이 수익성을 높여 정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보험사는 거래 편의성을 높이고 판매 비용을 줄이는 사업모형인 만큼 국내 보험산업에 정착한다면 새로운 경쟁과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소규모거나 위험 노출이 낮은 회사가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 나갈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