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많았던 유배당 보험 사라져
보험 소비자 선택권 침해 우려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동수 기자] 과거 대부분의 보험사가 팔았던 유배당 보험상품이 최근 모습을 감췄다.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명분으로 무배당 보험이 출시되자 보험사들은 관리가 어렵고 부담이 커지는 유배당 보험을 줄였고 무배당 보험 도입 취지와는 정반대의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사들은 높은 보험금 등을 이유로 소비자들이 유배당 보험을 찾지 않아 '애물단지' 신세로 전락했다며 상품 출시를 꺼리고 있지만 업계에선 무배당 상품만 판매해 역대급 실적을 올린 보험사가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생명보험사들이 쌓고 있는 보험료적립금 중 유배당 보험의 비중은 지난 2013년 24.3%에서 매년 감소해 지난해 기준 20% 이하로 줄었다. 최근 출시되는 보험 상품만 봐도 배당이 되는 연금보험 상품 일부를 제외하면 유배당 상품을 찾아보기 어렵다.

생명보험 '빅3'로 불리는 삼성·한화·교보생명의 대표 보험들 역시 대부분 무배당 보험이다. 특히 업계 1위인 삼성생명이 현재 판매 중인 상품 가운데 유배당 보험은 하나도 없는 걸로 알려졌다.

자신이 가입한 보험 상품명을 살펴봤을 때 앞에 (무)가 붙으면 무배당, (유)가 붙으면 유배당 보험이다. 유배당 상품은 보험료가 비싸지만 보험사가 낸 투자수익의 90%를 받을 수 있고 질병·사망에 대한 보장은 물론 높은 수익률까지 기대할 수 있다. 

반면 무배당 상품의 경우 유배당 상품과 비교해 보험료가 5~10% 저렴하다. 미래에 받는 배당금을 포기하는 만큼 보험료를 할인받는 셈이다. 대신 미리 정해진 이율(공시이율)에 따른 이자만 받아야 한다.

이에 앞서 국내 보험시장엔 유배당 보험 상품만 존재했지만 1990년대 초부터 외국계 생명보험사들이 국내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소비자 선택권을 넓힌다는 명분으로 무배당 보험을 내놨고 20년이 지난 지금, 무배당 보험 편향 판매라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유배당 보험은 찾아볼 수 없게 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1992년 당시 정부가 배당 경쟁을 줄인다는 이유로 무배당 상품 판매를 허용한 이후 저렴한 보험을 찾는 소비자의 니즈와 보험사의 상품 출시가 이어지면서 유배당 보험은 점차 사라졌다"며 "현재도 보험사들은 무배당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 실적으로 인해 무배당 상품에 주력

보험사들이 최근 무배당 상품에 전념하는 이유는 실적·수익 면에서 많은 이득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보험료는 저렴하지만 고객이 낸 보험료 대부분을 주식·펀드에 투자해 수익을 올리면서 실적으로 반영됐고 특히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투자 수익금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 투자환경이 악화돼도 배당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역마진 리스크도 줄어든다.

이와 더불어 유배당 보험의 경우 해마다 수백억원의 금액을 배당으로 나눠줘야 하는 만큼 재무 리스크가 상당했지만 무배당 보험이 늘면서 이러한 리스크는 조금씩 줄었고 실제 일부 보험사의 경우 유배당 결손금액은 지난 2020년부터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다.

2000년대 이후 시장에서 사라진 유배당보험을 살리기 위해 금융당국과 몇몇 보험사의 노력이 있었으나 결과는 미진하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4년 '보험 혁신 및 건전화 방안'을 발표와 함께 유배당 보험의 활성화를 위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이후 1년 넘게 표류하다 결국 잠정보류 상태에 접어들었다.

보험사들도 무배당 보험의 저렴한 보험료로 인해 고객들이 더 이상 유배당 보험을 찾지 않는다며 유배당 보험 출시를 하지 않겠다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무배당 상품만으로 충분히 수익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재무 리스크를 키우면서까지 유배당 상품을 판매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유배당 보험이 여러 방면에서 골칫거리가 되다 보니 계약자들에게 무배당 상품을 우회적으로 권유하는 분위기다"라며 "보험사 입장에서 장기적으로 유배당 보험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무배당 상품만 팔면서 선택권 침해

다만 일각에선 현재 국내 보험사들이 무배당 상품만 판매하면서 사실상 소비자들의 상품 선택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무배당 상품만 가입해야 하는 상황을 강제로 만들면서 유배당과 무배당, 두 상품을 비교해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할 수 있는 선택권조차 없애고 있다는 것.

실제 무배당 보험을 국내에 도입한 외국 보험사의 경우 현지에서는 여전히 유배당 상품을 팔고 있다는 점 역시 국내 보험사들의 상품 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외국 보험사는 아직까지 저축성 보험은 물론 질병·사망을 보장하는 보장성 보험조차 유배당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인 피치레이팅스에 따르면 미국 생명보험사들의 배당 수용력은 2019년 247억달러에서 2020년 264억달러로 약 6% 증가했다. 하지만 국내 보험사의 배당 성향은 매년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노건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보험사의 계약자 배당제도는 종전 규정인 IFRS4 및 IAS39에 따른 재무상태표를 적용하고 있다"며 "IFRS17에 적합한 계약자 배당 제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험업계 관계자 역시 "무배당 상품이 늘면 늘수록 배당성향을 꾸준히 떨어지고 보험사들의 실적은 계속 늘어날 것이다"라며 "상품 구조와 인식 변화는 물론 당국 차원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