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환경공단·생기연, '재생원료 사용인증제'로 ‘플라스틱 무역장벽’ 넘는다

생산기술연구원, '재생원료 인증제' 2차 시범사업 착수 환경공단, 재활용제품·재생원료 재활용 촉진 나서

2024-05-29     안희민 기자
플라스틱이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류 건강까지 위협하자 선진국들은 플라스틱 무역장벽을 쌓으며 재생원료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사진은 해변에 밀려온 각종 폐플라스틱 잔해들. 사진=GS칼텍스 제공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 플라스틱을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활용하는 추세에 정부가 '재생원료 사용인증제'를 마련하고 대응에 나섰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6월부터 '재생원료 사용인증제' 2차 시범사업을 벌인다고 29일 밝혔다. 한국환경공단도 재활용 제품과 재생원료를 다시 활용하는 각종 시책을 펼치고 있다.

EU, 미국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대상국들은 이미 플라스틱 무역장벽을 단단히 설정하고 있다. EU는 2030년 포장재를 성형할 때 재생원료를 30%까지 사용하도록 조치했다. 배터리의 경우 2031년부터 재생원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2022년부터 플라스틱 재생용기를 만들 때 재생원료를 15% 이상 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플라스틱은 1869년 처음으로 발견된 후 160년만에 인류의 필수재로 자리잡았다. 코끼리 상아로 만들던 당구공을 대체하기 위해 ‘셀룰로이드’로 불리는 천연 수지 플라스틱을 찾아내며 플라스틱 역사가 시작됐다. 1907년 베이클라이트라는 최초의 합성수지를 개발했으며, 1944년 베이클라이트사는 폴리에틸렌 비닐을 대규모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엔 카세트테이프, CD 등에 플라스틱을 대량으로 사용했으며 우주산업, 의료분야까지 플라스틱 사용폭을 확장했다.

문제는 플라스틱을 남용한 나머지 폐플라스틱으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고 사람의 몸에서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등 건강까지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태평양 한가운데 형성된 '플라스틱 섬'은 플라스틱 오남용 현실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이 플라스틱 무역장벽을 세우며 플라스틱 재활용을 유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환경부가 3월 29일 도입한 재생원료 비율 표시제 마크. 그림=환경부 제공 

국내에서도 재활용 제품을 적극 활용하고 재생원료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생산기술연구원은 전자제품과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6개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원료 인증제도 1차 시범사업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추진했다. 원료부터 소재, 부품과 최종재에 이르기까지 제품 공급망 전 과정을 추적해 재생원료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재생원료 함유율을 파악했다. 이 사업엔 삼성전자, LG전자, 성일하이텍 등이 참여했다.

생산기술연구원은 1차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재생원료 인증 체계안을 개발했고 다음달부터 2차 사업을 진행하며 섬유, 배터리, 전자제품으로 재생원료 인증제 대상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차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고 있다.

환경공단은 재생원료 인증제를 마련하는 동시에 재생원료 수급까지 신경 쓰는 모양새다. 이달 초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컨트롤유니온코리아(컨유)와 재생원료 고품질 재활용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맺었다.

환경공단은 국내에 적합한 재생원료 인증제도를 연구하고 중소규모의 재활용업계가 재생원료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가 3월 29일부터 시행 중인 재생원료 비율 표시제도를 설명하고 국내 재생원료 사용인증제도를 개발할 계획이다. 한국에서 재생원료 사용인증을 받으면 EU 등 외국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는 재질별, 용도별로 적합한 재생원료 인증을 안내하고 회원사가 재생원료 인증을 원활하게 취득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다. 컨유는 GRS, ISCC+, RCS 등 재생원료 인증제도를 설명하는 등 해외동향을 공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