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尹정부 환경정책에 '친환경' 전략 가속화하는 車업계

2022-05-11     박현영 기자
현대모비스 울산공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박현영 기자] 초미세먼지 감축과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자동차업계도 친환경차 전략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정부는 최근 발표한 국정목표에서 “탄소중립 실현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글로벌 탈탄소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다.

윤 정부는 또한 초미세먼지 농도를 개선해 국민 건강피해 예방과 푸른 하늘을 복원하겠다는 과제도 수립했다. 추진 정책에는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요금 부담 경감 및 차량 온실(배출)가스 기준 강화 등이 포함됐다.

이미 탄소중립 및 친환경차 보급에 집중하고 있는 자동차업계는 새정부의 국정과제에 발맞춰 기존 전략에 탄력을 붙일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차업계에 따르면, 먼저 현대자동차는 울산공장에 대규모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 발전소를 건설한다. LNG열병합발전소 건설시 현대차는 기존에 한국전력에서 공급받던 전력 소요량의 70%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

특히 발전소는 발전과 난방을 동시에 제공하는 열병합 시스템으로 시간당 100톤 규모의 스팀까지 생산하게 된다.

현대차는 발전소 설립으로 전력 및 스팀의 생산효율을 높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열병합발전소는 전력과 스팀을 각각 생산할 때와 비교해 20%의 에너지절감효과와 30%이상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차 측은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에 맞춰 기존 전력 및 스팀 생산 효율 향상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고, 친환경 LNG연료 적용 및 유틸리티 수용,공급의 안정성 제고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가용 열병합 발전 설비를 도입하고 한다”고 밝혔다.

현대차와 기아는 새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에 맞춰 전기차와 수소차 생산 및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앞서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오는 2030년 17종 이상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 187만대, 점유율 7% 달성을 추진하겠다는 중장기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2021년 연간 14만대를 기록한 전기차 판매 규모를 5년내 6배로 성장시키고 10년 내에 13배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판매 비중도 현재 4%에서 2030년 36%까지 상승하게 된다.

기아는 2030년까지 전기차 선도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전기차는 2023년 플래그십 모델인 EV9을 비롯해 2027년까지 매년 2종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 총 14종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다. 더불어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도 120만대를 달성할 방침이다.

한국지엠은 최근 미국 GM에서 추진 중인 전 전동화(all-electrification) 미래 실현 전략을 성공적으로 국내에 안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GM은 2025년까지 총 350억 달러(약 41조3000억원)를 투자해 30종의 전기차를 선보일 것을 발표한 바 있으며, 배출가스 제로의 미래를 위해 전기차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지엠 역시 GM의 글로벌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국내 고객들의 다양한 선택권과 고객 경험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전기차 성장 전략을 추진 중이다

다만 2035년까지 내연기기관차의 신규 등록을 금지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무공해차 전환 목표에 자동차업계가 발맞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대차는 지난해 ‘2045년 탄소중립’을 선언할 당시 2030년까지 제네시스를 100% 전동화하고, 2035년까지 유럽에서 100% 전기차·수소전기차만 판매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다. 국내를 포함한 주요시장의 100% 전동화 추진은 2040년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에선 국내 자동차업계가 신규 전기차 비중을 매년 늘리고 있지만, 10여년 만에 100% 전동화를 달성시키기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로 100% 전환하려면 단순히 생산을 늘리것 뿐만 아니라, 충전 인프라, 부품업계, 일자리 문제 등 선행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