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만3000명 스스로 목숨 끊어…김한길 '자살예방정책 전환해야'
"자살자 혼돈·고통·고독 이해하고 막아야"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28일 "자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면서 "과거 전통적인 언론, 방송뿐만 아니라 플랫폼의 콘텐츠까지 포함하여 최근 뉴미디어 환경에 맞추어 자살예방정책도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민통합위 산하 '자살 위기 극복 특별위원회'가 연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세미나는 '자살 예방을 위한 우리 사회의 인식 개선과 역할'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플랫폼에서 자살 관련 정보가 급격하게 늘어난 데 따른 문제의식에서 마련됐다.
한지아 특위 위원장은 '특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살 예방에 관한 인식 개선'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은 직접적으로 모방 자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자살이 선택지가 되는 사회적인 문화, 자살이 일상화되는 사회 분위기가 큰 문제"라면서 "새로운 플랫폼 등장 시 자살 유해 콘텐츠에 대한 심의가 제한적인 만큼, 제도적 사각지대를 파악해 급변하는 현실과 정책의 괴리를 좁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유현재 특위 위원은 '자살 예방 인식 저변 확대를 위한 미디어의 방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자살위험 게시물 및 영상 관련 모니터링에 있어 정부의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규제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 위원은 "자살은 선택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면서 자살을 의미하는 '극단적 선택' 용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자살은 '선택'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 10·20·30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점과 지난해 우리 사회에서 약 1만3000명이 자살한 점을 짚으며 "정부와 기관, 전문가 등 우리 모든 국민이 자살을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 개개인의 존엄성을 스스로 포기하는 사람이 적을수록 함께 어울려 사는 우리가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특위 위원들을 향해선 "자살률에만 신경쓰지 말라"면서 "자살자가 자살을 결단하는 과정에서 겪는 혼돈·고통·고독에 대해 이해하고 어떻게 막을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