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희 의원, 'CF100' 성공 시나리오 포럼 개최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우리나라에서 RE100 대안으로 나온 CF100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드러났다. CF100은 원자력계가 RE100 대안으로 내세우는 캠페인으로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뿐 아니라 원자력, 수소에너지로 사용하자는 내용이다.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실이 28일 주최한 '에너지혁신포럼 2030'에서 카이스트 정용훈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2050년 한국의 하루 치 전력사용량을 저장하려면 1000조 원어치 배터리가 필요하다”며 “탄소중립 실현에서 원자력이 포함된 CF100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CF100에 참여한 기업들의 사례로 구글을 들었다.
구글은 2017년 RE100을 이미 달성했다. 추가로 2030년까지 전 세계에 있는 데이터센터와 사무실을 하루 24시간, 7일 내내 해당 지역의 전력망에서 생산되는 무탄소 에너지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CF100 개념을 제시했다.
관련 협약으로 24/7 CFE Compact가 있는데 여기엔 구글 외 클리어트레이스, FERVO, EnergyTag, Osted 등이 선도적으로 사인했다.
정 교수는 탄소중립으로 가기 위해 2~3배 늘어날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수소에너지가 필요하며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외국에서 RE100을 한다고 한국에서도 똑같을 필요가 없고 한국 사정에 맞는 에너지 전략이 필요하다는 논조를 피력했다.
산업부 이한철 산업환경과장은 탄소중립 실현에 원자력이 한몫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과장은 “RE100을 논의할 당시 원전을 국가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나라가 많지 않았다”며 “지금은 많은 국가들이 탄소중립에서 원전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과장은 “RE100은 태양광·풍력·지열·수력 등 재생에너지로 실현방안을 한정하다보니 비효율적”이라며 “원전, 수소,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청정에너지를 쓸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 주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건국대 박종배 교수는 CF100을 수용하기 앞서 기존 제도를 정비해야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전기를 자가소비하는 해외와 달리 한국은 전력을 전력거래소에 내다팔기 때문에 RE100, CF100 실현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RE100에서 CF100으로 바꾸려면 제3자PPA나 직접PPA가 필요한데 이는 제도적으로 구축돼 있어 원전만 추가하면 된다”고 말했다.
에경연 박우영 전력정책연구본부장은 “RE100 이행만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며 “RE100은 그린워싱의 가능성이 있으며 에너지저장장치(ESS)사용을 인정하지 않아 무탄소 전원을 1년 내내 사용(=24/7, 24시간 7일 365일이라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CF100이 성공하려면 무탄소 에너지 인정 시스템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24/7를 과제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 노동석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 RE100이든 CF100이든 2050 탄소중립 실현에 도움이 안된다는 입장이다.
노 센터장은 “RE100이나 CF100이나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는 대단히 비현실적”이라며 “CF100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나 이행방안이 없어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EU는 원자력을 무탄소 전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며 “원자력은 EU택소노미에 포함되도 그린에너지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