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돈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고준위 방폐물 반입 안해”
'ICGR-7'서 기조연설…“고준위 방폐장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 조성돈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으로의 전용 가능성을 일축했다.
조 이사장은 27일부터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제7차 지층처분장 국제회의(ICGR-7)’ 기조연설에서 고준위 방폐장을 마련하기 위한 원자력환경공단의 노력을 소개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이번 ICGR-7을 주관하고 있다.
조 이사장은 한국에서 고준위 방폐장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개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확보 △인력양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용할 수 있다는 세간의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한국에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처분시설로 전환하지 안을까 하는 의구심이 있지만 고준위 방폐물이나 사용후핵연료를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반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날 조 이사장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을 언급했다. 이 가운데 R&D 로드맵에서 심층처분에 관한 104개 핵심기술을 선정해 확보 전략과 일정을 제시했다.
한국 고준위 방폐물과 지하 암반의 특성을 고려한 처분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서 처분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실증할 계획이다. 심층처분시설 개발 단계별로 적용가능한 종합안전성 입증체계를 구축해 심층처분의 안전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기술활용도와 산업적 파급효과가 높은 핵심기술을 우선 개발하고 상용화 단계에 근접한 기술을 산업계를 중심으로 고도화한다는 구상이다.
고준위 방폐장 부지를 선정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부지조사와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장기간 발생하는 지질환경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노력도 벌인다.
또 조 이사장은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심부지질환경을 파악·분석하고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고준위 방폐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2028년까지 시설설계를 완료하고 굴착을 병행하면서 관련 기술을 개발한다.
조 이사장은 고준위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이 100년 이상 장기간 수행되기 때문에 핵심인재를 적기에 양성하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의 원자력 전문인력은 원전건설과 운영 등 선행핵연료주기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방폐물 관리 등 후행핵연료주기의 인력부족을 겪지 않도록 2023년부터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기존 인재개발원을 개편해 작년 7월 방폐물기술인력개발원을 신설하고 프로젝트 기반 대학지원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매년 120명의 원전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무교육도 인재 확보를 위한 노력이라고 덧붙였다.
조 이사장은 “원자력환경공단은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을 이미 확보해 운영하고 있으며 고준위 방폐물 관련 기술개발, 인력양성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방폐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