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 “LNG·석탄발전 보상없이 먼저 끈다”
전력거래소 “기상 여건에 따라 당장 4월1일부터도 가능”
2024-03-27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산업부가 4월 출력제한 가능성을 예고하는 가운데 전력당국이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과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데일리한국과의 통화에서 "출력제한 조건으로 기상여건이 가장 관건이며 계통선로가 취약한 전남지역이 가능성이 크다"며 "조건이 맞는다면 당장 4월 1일부터도 전력망에 과부하가 결려 대규모 정전사태(블랙아웃)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단, 태양광발전이 가장 먼저 출력제한 대상은 아니다.
이 정책관은 “전남지역에 발전설비용량 10GW가 몰려있어 70%만 잡아도 (최대수요가) 7GW”라며 “전력선로가 충남권에서 가로막혀 수도권으로 송전을 할 수 없어 전력망 취약지대”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출력제한을 할 상황이면 LNG발전과 석탄발전을 전력거래시장(CBP시장, 변동비반영 전력거래시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것이고 그래도 여의치 않으면 양수발전을 가동하고 수력, 바이오발전을 중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태양광발전과 원전 감발은 그 이후”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상황이면 전남지역 해상풍력도 들어오지 못하는거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럴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빛원전이 감발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가 마련됐느냐는 질문엔 확인하지 않았다.
4월 블랙아웃에 대한 긴장감은 전력거래소도 마찬가지다.
익명을 요구한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기상 여건이 가장 중요하며 상황이 된다면 4월 1일부터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력거래소는 출력제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관이다. 출력제한이 필요하면 전력거래소가 발동을 결정하고 실제 출력제한은 해당 지점에서 이뤄진다. 이때 출력제한 주체는 한전이 될 수도 있고 사업자가 될 수도 있다. 한전과의 전력공급계약엔 발전사업자는 전력당국의 출력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조항이 있어 발전사업자가 출력제한을 받을 법적 근거가 되고 있다.
4월 1일과 2일은 각각 토,일요일 휴일로 전력수요가 줄어 남아도는 전기가 많은 시점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비상대기를 통해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에너지공단이 발간한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가장 많은 곳은 전남으로 4.9GW에 이르며 이 가운데 태양광발전이 4.3GW이다. 같은해 신재생에너지 전국 설비용량은 30GW이다.
이호현 전력정책관은 "출력제한은 에너지원별 간 차별을 두고 이뤄지지 않는다"며 "어떻해서든 블랙아웃은 막을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