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1000억 육박에 매물도 속속 등장...'뒤숭숭 저축은행업계' 위기탈출 고심
실적 악화에 매각 이슈까지 '돌출' 이자 비용 증가 등 자산관리 난항 금리 상승에 하반기 예측 불투명
2023-09-08 최동수 기자
◇ 투자 실패와 이자 상승에 자산관리 난항
'위기설'까지 나올 정도로 저축은행들이 자산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부동산 금융 부실 △이자 비용 증가 때문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자기자본대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 비중은 177%로 증권사·캐피탈사에 비해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위험성이 큰 브릿지론 비중은 120% 이상이다. 연이어 부동산 금융에 투자를 이어갔던 대형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 부실이 우려되자 대손충당금 등 대손 비용을 늘렸고 이는 실적 부진 현상으로 이어졌다. 실적 부진으로 금융사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NPL) 역시 저축은행 79곳 중 39곳이 5%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자산건전성은 낮은 것으로 읽힌다. 이자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는 점도 저축은행의 실적 상승을 막았다. 업계에 따르면 자산 규모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페퍼·웰컴)의 올해 상반기 기준 이자 비용은 총 1조17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485억원에서 126.9% 늘어난 규모다. 주요 저축은행의 이자 비용이 눈에 띄게 증가한 이유는 수신금리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조달 비용 부담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예적금·은행채 발행 등 자금조달 수단이 다양한 시중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은 자금조달 수단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수신금리가 오를 경우 그만큼 조달 비용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부담 vs 개선 하반기 전망 불투명
문제는 하반기 역시 수신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저축은행의 조달 비용 부담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기준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4.11%를 기록했다. 2개월 전까지만 해도 해당 금리가 3% 후반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현재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권에서는 지금과 같은 수신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적자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시중은행에서 연 4%대 예금 상품이 재등장하는 등 예금금리가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저축은행과의 금리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예금금리가 저축은행 뒤를 바짝 추격하면서 향후 저축은행들도 고객 이탈 방지를 위한 수신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일각에선 올해 하반기 건전성 지표가 개선될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지난 5월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개인 연체채권을 민간 회사에 매각할 수 있게 협약을 개정하면서 하반기에는 개인 연체채권 매각과 관련해 연체율 지표도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전체 여신에서 가계 자금 대출 비중이 높은 편이다"라며 "개인 연체채권이 매각되면 연체율이 낮아지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3~4분기쯤 되면 부실 채권이 매각돼 연체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개선될 전망이다"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