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토토 커뮤니티

[인터뷰] 원전→해상풍력 사업 확장한 우리기술 전대영 부사장

해상풍력용 MMIS 국산화, 압해해상풍력 사이트 확장, WTIV 건조 도전 중 정책 일관성 아쉬워…한전 신재생에너지사업 참여로 국산기자재 확산 필요

2023-04-12     안희민 기자
왕성한 기업가 정신으로 기존 원전 사업에서 해상풍력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우리기술 전대영 부사장. 사진=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

[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 원자력발전에서 쌓은 기술력을 해상풍력발전에 적용하고 나아가 직접 해상풍력 사이트 개발과 풍력터빈설치선(WTIV) 건조사업에 뛰어든 기업이 있다. 

올해 창업 30주년을 맞는 우리기술이 그 주인공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쟁 도구의 희생양으로 '갈 지(之)자' 행보를 보여온 에너지 정책 환경 속에서도 한 우물을 파온 기업이다. 우리기술의 창업 멤버로 현재 우리기술 CFO이자 (주)압해풍력발전소 대표를 맡고 있는 전대영 부사장을 만나 속이야기를 들었다.

Q. 우리기술은 원자력발전에 잔뼈가 굵다. 원전 계측제어설비 국산화로 유명하다.

우리기술은 올해로 창업 30년차를 맞는다. 1993년 서울대 공대 선후배가 창업해 1995년 법인으로 전환했다. 당시 원전 제어와 보수 관련한 기술이 국산화되지 않아 외국에 가격을 후려치기 당하는 등 폐단이 있었다. 그래서 원전 계측제어설비(MMIS)를 손수 국산화해 보자고 의기투합 했고 사명도 ‘우리기술’로 지었다. 

우리기술은 원전 계측제어설비를 전세계에서 다섯번째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 처음엔 원전의 계측,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별 제품으로 공급하다가 2010년에 이를 한데 모은 복합제어시스템을 구성해 납품하기 시작했다. 

Q. 사업 영역을 원전 사업에서 해상풍력발전 사업으로 확장한 배경이 궁금하다.

기존 원전에 설치된 계측제어설비 유지보수 사업만으로도 우리기술은 생존이 가능했다. 계측제어설비는 5~10년 주기로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이 사업만으로도 회사 운영은 무리가 없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했어도 문제가 없을 정도다. 

2010년 당시만해도 향후 원전을 10기 이상 짓겠다는 정부발표가 있어 부푼 꿈에 살았다. 그러다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사태가 발생했다. 미래전략으로서 원전사업을 고민하다가 원전 또한 무탄소 에너지로 기후변화 대응에 유용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기후변화 대응에 관심 갖다보니 자연스럽게 해상풍력발전을 떠올리게 됐다. 스터디를 해보니 해상풍력발전도 원전과 마찬가지로 계측제어설비가 국산화돼 있지 않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래서 우리기술이 원전에서 성과를 거둔만큼 해상풍력용 계측제어설비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겠다고 판단해 사업에 뛰어들었고 국책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Q. 부사장께서 (주)압해해상풍력 대표도 겸하고 있다. 해상풍력은 어떤 식으로 준비하고 있나.

원전 MMIS를 개발하는 데 10년이 걸렸다. 해상풍력 제어기술을 국산화해도 본격적인 시장이 열리는 데까지는 상당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회사 규모를 키우면서 해상풍력발전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씨지오라는 업체를 인수해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에 뛰어들었다. 씨지오는 한국 최초 해상풍력인 제주탐라해상풍력에 참여했고 대정해상풍력에도 참여한 경력이 있다.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진행하던 중 신안군에 위치한 (주)압해해상풍력의 지분 100%를 인수하게 됐다. 현재 40MW 인허가를 받았고, 향후 터빈 용량을 키워 80MW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씨지오를 통해 풍력터빈설치선박(Windturbine installation vessel) 건조사업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Q. 어려움 없는 사업은 없다. 해상풍력사업을 수행하면서 애로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무엇보다 정책의 일관성이 있었으면 좋겠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OECD 최저 수준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 발표한 202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에 따르면 발전량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8.29%에 불과하고, 재생에너지는 7.15%다. 태양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다음은 바이오매스다. 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 개념으로 접근한 발전원이지만, 실제 발전과정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또 실질적인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서라도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가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산업부는 최근 국산부품 활용 인센티브를 폐지했다. 산업부는 국산부품 활용 인센티브 제도가 WTO 협정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고. 이 인센티브 제도가 없더라도 발전소가 설치되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기자재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폐지를 정당화하고 있다.

그런데 외국 풍력터빈 기업은 터빈과 함께 계측제어설비도 공급하려고 한다. 이렇게 되면 한국의 풍력운영데이터가 외국 기업에 유출될 뿐만 아니라, 국산이 제공되더라도 자칫 외국 기업 입맛에 맞는 것만 제공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풍력운영데이터는 유지보수 사업의 근간이기도 하다. 국산 계측제어설비를 보호하지 않으면 또다른 사업기회를 잃는 것과 같다. 정부가 이 점을 알아주면 좋겠다.     

또 한전이 대형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을 수행했으면 한다. 관련 입법이 지난 정부 말에 추진되다가 흐지부지된 것으로 알고 있다. 한전이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을 수행해야 국산 기자재 업체들이 살아날 수 있다. 한전이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을 수행해 새로운 돌파구를 열고 동시에 국산 기자재 업체에도 활로를 열어주기를 희망한다. 

전대영 부사장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 소재 우리기술 본사 사옥 테라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전 부사장은 우리기술 창립멤버로 현재 CFO를 맡고 있으며 (주)압해해상풍력의 대표이기도 하다. 사진=토토 사이트 커뮤니티 안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