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용기 보증금·일회용컵 보증금 관리를 양대 사업으로 운영
QR코드 각인된 일회용컵 시범 유통 검토 중...디지털플랫폼정부 전형될 듯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를 27일 방문했을 때 기획홍보팀 윤성섭 팀장은 새로 들여온 기계를 한참 시험하고 있었다. 카페에서 흔히 보는 일회용 컵을 기계가 잘 인식하는지 테스트하는 시험이었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엔 QR코드가 레이저로 각인돼 있었다.
윤 팀장은 시험하고 있는 기계를 “기술을 개발해 시범사업을 검토 중인 QR코드 각인 일회용컵과 인식기”라고 소개하면서 “현재 인식기의 경우 알리오에 입찰을 붙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플라스틱 성형 사출기에서 분당 600~900개 쏟아지는 일회용 컵에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일일히 QR코드를 찍어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대표적인 사례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이 사업을 상당히 구체화했다. 일회용 컵에 QR코드를 각인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했다. 다만 생산라인에 QR코드 각인 공정을 추가하면 일회용컵 사출이 분당 100개 정도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극복하려고 더 나은 인식기를 구하고 있다.
윤 팀장은 “기획파트에서 일하고 있어 일회용 컵 관리방안을 마련했고, 사업부서에서 실무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 하루 1000만 개정도 소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일회용 컵을 전산관리할 생각을 제안한 장본인이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환경부 소속 사단법인이다. 국세청이 1985년 도입한 주류 공병보증금을 환경부가 2002년 마련된 자원재활용법에 근거해 관리하기 시작하며 조직됐다.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장,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장을 역임한 정복영 전 수도권대기환경청장이 2021년 초대 이사장을 맡으며 현재까지 재활용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빈용기 보증금 제도 △일회용 컵 보증금제도를 양대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일반시민들은 빈용기 보증금 제도를 흔히 ‘공병 환급금’ 정도로 이해하고 있지만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공병 유통경로를 추적해 역회수하는 방법으로 전체 회수율을 2023년 97.1%까지 높였다. 공병 환급금액을 높인 뒤로 소비자가 공병을 직접 반환하는 비율도 65.2%까지 올랐다. 공병 환급금액을 인상한 2016년 이전 소비자 반환 비율은 29%에 불과했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공병 환급금 제도와 같은 유사한 방식을 일회용 컵에도 도입하고 있다. 한 해 28억개의 일회용컵을 사용하지만 물질재활용률이 4.6%에 불과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다. 소비자는 공병 환급금 제도와 마찬가지로 일회용컵을 이용할 때 300원의 보증금액을 지불하고 반납 시 환불한다.
제주와 세종에서 사업을 진행해 보니 효과가 있었다. 2022년 12월 반환량이 8만 5872개였지만 11개월 후 48만 8034개로 늘었다. 11.9%였던 반환율이 72.7%까지 늘었다. QR코드를 각인한 일회용 컵을 도입하면 반환율이 더욱 늘 것으로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는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