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안병용 기자] 화물연대 파업이 일주일째를 넘어서면서 국가 기간 산업들의 물류 피해가 전방위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일인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총 1조6000억원(자동차 2671억‧철강 6975억‧석유화학 5000억‧시멘트 752억) 상당의 생산, 출하, 수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에선 철강 제조 공장인 포항제철소의 선재공장과 냉연공장 가동이 이날 오전 7시부터 중단됐다. 선재공장은 1~4공장 전체가 가동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선재제품 하루 생산량인 약 7500톤의 감소가 불가피하다. 냉연공장은 가전, 고급 건자재용 소재를 주로 생산하는 2냉연공장 가동이 멈췄다. 약 4500톤의 제품 생산 감소가 예상된다. 모두 약 1만2000톤 수준의 생산량 감소라는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사태 장기화 시 고로 가동 중단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동차업계 역시 하루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매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긴급 대응에 나섰다. TF는 김주홍 자동차산업협회 정책연구소장을 팀장으로 현대차·기아 등 국내 완성차업체 4곳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차부품산업진흥재단 등 부품업계 6곳이 참여했다.
협회 측은 “파업과 물류방해 행위로 부품수급이 차질을 빚고 그로 인해 완성차 생산을 제때 못해 다시 부품수요가 줄어드는 등 악순환에 직면했다”며 “완성차·부품 수급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생산·수출차질 등 현장 피해상황 등을 파악해 대정부 건의사항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까지 접수된 화물연대 파업으로 접수된 애로사항은 160건에 달한다. 수입 관련이 55건(34.4%)이다. 이 중 원자재 조달 차질이 25건(15.6%), 생산 중단이 15건(9.4%), 물류비 증가가 15건(9.%)이다. 수출 관련은 총 105건(65.6%)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남품 지연이 25.0%로 가장 많다. 이어 위약금 발생(21.9%), 선박 선적 차질(18.8%) 순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31개 경제단체 및 업종별 단체들은 공동으로 입장문을 내 파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물류비 인상의 3중고로 복합 위기에 빠져든 상황에서 운송사업자 단체인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장기화되고 있다”며 “시멘트, 석유화학, 철강은 물론 자동차 및 전자부품의 수급도 차질을 빚고 있어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과 무역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국가 물류를 볼모로 하는 극단적인 투쟁’이라고 규정한 뒤 “화물연대가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운송에 복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막대한 파급효과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상황에 따라 업무개시명령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특히 화물연대의 운송방해, 폭력 등 불법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해 산업현장의 법치주의를 확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지난 주말 내내 마라톤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화물연대 측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및 품목 확대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으나 국토부는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양측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 국회가 개입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