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위기극복 특위 출범…"원인·극복 방안 논의"
한지아 을지의대 교수 등 각계 전문가 13인 구성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 제공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민통합위 제공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16일 “모두가 소중한 자살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애쓰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 참석해 “자살의 원인과 극복 방안을 논의하고 공론화해 달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 1인당 소득이 3만달러인 동시에 5000만 인구가 넘는 이른바 ‘3050클럽’에 들어가는 등 국가 위상이 과거와 달리 높아졌지만, 직시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다”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부끄러운 자살률”이라고 말했다.

통합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인국 10만명당 자살자 수(자살률·OECD 표준인구 보정)는 23.6명으로, OECD 평균(11.1명)보다 2배 이상 높다. 통계청 21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를 보면 10~30대의 경우 사망원인 1위(약 47%의 비중)가 고의적 자해(자살)다. 노인자살률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70대 이상은 46.2명, 80대 이상은 67.4명으로 각각 OECD 평균보다 약 2.8배, 약 3.1배 높다.

김 위원장은 “보건복지부 등 여러 부처가 자살의 요인을 진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통합위 내에 보다 깊고 넓은 방식으로 문제 해결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살위기극복특위를 출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통합위에서 올해 첫 번째로 출범한 자살위기극복특위는 자살 요인이 되는 사회문화적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각 부처에서 고려하지 못한 이슈를 발굴해 실용적 해법을 제시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자살 예방 전문인력 양성과 자살 감시 동향 체계 도입 등 제도 개선 사항도 살필 계획이다. 자살 관련 데이터도 수집해 국가 자살통합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논의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자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학교 등 우리 사회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빚어진 결과물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자살률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인간 존재의 존엄함에 대한 근본적 인식에서 출발하는 문제 접근도 빼놓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천하를 얻고도 내 생명을 잃으면 모든 게 다 헛되다’는 말도 있다”면서 “자기 삶은 포기하는 사람들이 그러한 결정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운가 하는 데 대해 관심의 끈을 놓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한지아 특위 위원장에게 위촉장을 수여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한지아 특위 위원장에게 위촉장을 수여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위는 위원장을 맡은 한지아 을지의대 교수를 포함해 각계 전문가 13인으로 구성됐다. 한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 생애주기별 및 만성질환국 담당관 등을 역임한 보건·복지 정책 전문가다. 이 밖에도 백종우 경희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경제학자 우석훈 등이 위원으로 위촉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