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 "증여받는 연령대, 50대 이상이 가장 많아"
[데일리한국 김택수 기자]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부동산 증여 시점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합건물(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오피스텔·상가 등) 증여인과 수증인의 연령대도 모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공개된 집합건물의 소유권 이전 등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집합건물 증여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연령대는 '70세 이상'(37%)이었다. 증여인의 10명 중 약 4명이 70대인 셈이다.
2020년만 해도 23.1%였던 70대 이상 비율은 지난해 36%로 30% 선을 넘어선 뒤 지속적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액티브 시니어들이 직접 보유 자산을 운용하다가 자녀들에게 증여하는 시점이 자연스럽게 늦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60∼69세 비중은 23%로 이 비중은 2020년 26.7%였지만 2021년 25%, 지난해 23% 등으로 축소되고 있다. 50∼59세 비중도 2021년 25%, 2022년 23%, 지난해 19%, 올해 17% 등으로 작아지고 있다.
집합건물 증여인 수는 2020년 8만389명을 기점으로 2021년 7만683명, 2022년 5만4083명, 2023년 3만2450명으로 3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함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022년 하반기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기점으로 부동산시장이 위축된 데다 은퇴 후 근로소득이 제한적인 고령자가 부동산 자산의 증여를 뒤로 미루는 등 증여 적극성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고령화로 증여 시기가 늦어지면서 증여를 받는 시기도 늦어져 수증인(자산을 이전받는 사람)의 연령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수증인 중 50∼59세가 26.6%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비중이 컸다. 60∼69세 수증인도 2020년 13.7%에서 2024년 19.3%로 4년 만에 5.6%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30∼39세 수증인은 지난해 14.5%에서 올해 16.1%로 증가했다. 49세 이하 연령대에서 지난해 보다 수증인 비율이 증가한 유일한 연령대다.
올해 1월1일부터 정부가 결혼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를 신설한 영향으로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은 분석했다.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는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이내(총 4년) 증여한 1억 원까지는 추가 공제가 가능한 제도다. 기존에는 직계존속(부모)이 직계비속(자녀)에게 10년간 5000만원 한도로 증여할 때만 공제가 가능했으나 올해부터는 신랑·신부 각 1억5000만원으로 3억원까지 증여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함 랩장은 "저출생 고령화 추세 속 부동산 자산의 세대 이전이 점차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동산 자산 비중이 큰 우리나라에서는 은퇴 후 보유자산의 운용 효율화뿐 아니라 증여세에 대한 세금 부담 경감 등 수증자로의 자산 이전을 돕는 정책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