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유토이미지
사진=유토이미지

[데일리한국 장정우 기자] 국내 게임업계가 다시 한 번 확률형 아이템으로 시끄럽다.

그라비티, 웹젠, 위메이드 등 게임사들의 확률형 아이템 정보 표기에 오류가 있었다는 공지가 연이어 나오면서 다시 불이 붙었다.

게임산업진흥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달 22일 시행되면서 확률형 아이템 정보 표기에 힘이 실리는 듯 했지만,  오히려 허술하게 관리되던 게임 확률 정보의 민낯이 드러나 이용자들의 불신이 커졌다.

지난 1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일명 ‘보보보’사태라 불리는 ‘메이플스토리’의 ‘큐브’ 확률 조작 논란을 일으킨 넥슨에게 11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지 몇달밖에 지나지 않았다. 

게임업계가 자율규제로 확률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지 않는 것이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목소리를 높여온 것이 무색해졌다. 

확률형 아이템 논란이 있을 때마다 이용자들은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게임사의 각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전광판에 메시지를 담은 트럭을 게임사에 보내는 일명 ‘트럭시위’로 게임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총대’로 불리는 이용자 대표들이 개발진과 직접 대면해 10시간 가까이 게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을 촉구하는 과정이 온라인으로 중계된 적도 있다. 

그럼에도 다시 한 번 게임사들이 실수를 인정하고 이용자에게 사과하는 일들이 잇따랐다. 불신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게임 커뮤니티에서는 최근 발생한 게임사들의 실수에 대해 '확률 사기'라는 원색적 비판도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들이 게임사를 얼마나 불신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프로젝트 문의 RPG(역할수행게임) ‘림버스 컴퍼니’에서 검증과 관련된 대사가 있다. 고인의 유언장을 공개하는 장례식장에서 처음 보는 외부 기관이 유언장에 위조가 없다고 발표한다. 이 때 한 등장인물이 “저 사람들이 위조를 검증한다면, 저 사람들은 누가 검증하는거야?”라며 의문을 품는다.

국내 게임사들의 확률 정보 공개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말이다. 게임사들이 확률을 공개하고 있지만 이것이 검증된 값이라는 물증을 제시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게임사에서 결과값을 공지하고 있지만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명확한 산출 과정은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임사들은 그 과정을 공개하고 싶어도 개발에 사용되는 리소스(자원)를 공개한다면 회사의 기술력을 유출하는 셈이 된다는 입장이다. 검증됐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없는 셈이다.

소(신뢰) 잃고도 외양간(확률 정보 공개 의무화)을 제대로 고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엎질러진 물은 주워담을 수 없다. 확률형 아이템 관련 이슈가 발생했고 이용자의 게임사에 대한 신뢰는 또 다시 떨어졌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 게임사는 지금이라도 일시적이 아닌 꾸준한 노력으로 달라진 모습을 이용자에게 보여줘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