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감사실 주최 에너지정책·과학 포럼서 기존 송전선로 건설 대안 제시
분산에너지법, 기존 인프라 안전성, 신규 도로·철도망 수요 등 고려 필요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도로·철도부지에 송전선로를 건설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송전탑이나 선로 주변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전력망 건설이 벽에 부딪치자 나온 궁여지책이다.
한국전력 감사실이 지난 19일 개최한 '에너지정책·과학 포럼'에서 군산대 안홍섭 교수는 ‘송전선로 건설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안 교수는 “철도와 도로 좌·우측에 선제적으로 공동구를 건설해 각종 네트워크 시설사업에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안 교수가 참고한 해외사례는 미국의 아이오와, 일리노이주 초고압직류송전(HVDC) 건설사업이다. 국내에서도 전력망과 도로, 철도 등 네트워크 시설 사업을 통합해 개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포럼의 패널로 참석한 박상태 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은 “국가도로망 종합계획,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전력망 건설계획을 통합 검토해야 한다”며 안 교수의 제안에 힘을 실었다.
안 교수의 제안은 송전망 건설이 주민들의 반대로 벽에 부딪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제안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분산에너지법 시행 △송전선로 지하매설 시 건설비용 증가 △줄어든 신규 도로·철도망 건설 기회 △기존 도로·철도부지 안전성과의 조화 등의 문제도 고려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부터 분산에너지법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며 특히 내년에 전기요금 지역 차등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전기요금 지역 차등제는 발전소와 먼 거리에 있는 전력수요지의 전기요금을 비싸게, 가까이 있는 지역의 경우 값싸게 책정하는 정책이다.
가령 반도체 클러스터가 필요한 전력을 구입할 때 신한울 1호기보다 인근 LNG발전소 등에서 구입하는 전기가 더 값싸거나 비슷한 수준이 될 수 있다. 아직 요율 산정 기준이 나오지 않아 선로 거리별 전기요금 폭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분산에너지 시대를 대비해야 함은 분명한 사실이다.
송전선로를 도로와 철도부지를 따라 건설할 경우 지하에 매설할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 가공선로보다 비용이 4배에 달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줄어든 도로·철도망 건설 계획도 또다른 장애다. 도로공사 관계자에 따르면 도로건설을 수요가 발생하면 진행하는데 신규 건설 수요로 광주시 인근, 가덕도신공항 고속도로, 대구시~대구경북통합신공항 구간 20km, 민자로 진행하는 서해안 제2고속도로를 꼽을 수 있다. 서해안 제2고속도로를 제외하곤 한전이 관심을 가지는 신규 전력망 확충 사업과 거리가 멀다.
또 기존 도로·철도부지에 지중화방식으로 송전선로를 매설하다보면 도로·철도부지를 파헤칠 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도로·철도부지의 토목공학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도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