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글로벌 수소교역 4억2000만 톤 전망
수소특화단지·수소거래소·수소배관망 지원 요구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국회에서 수소경제포럼이 25일 창립됐다.
국회 수소경제포럼은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의원이 공동대표를 맡았다. 수소얼라이언스(H2KOREA)에서 이름을 바꾼 한국수소연합이 창립총회를 주관했다. 후원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현대차, 두산퓨얼셀, SK E&S, GKS,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부발전이 이름을 올렸다.
국회 수소경제포럼 출범은 예산 확보와 관련 제도 정비를 요구하는 업계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단독으로 주도했던 국내 수소경제를 국회가 힘을 보태는 모양새다.
한국수소연합 하지원 국제협력실장은 과거 수소에 관심 갖는 국가가 일본 정도였지만, 현재는 미주와 유럽도 수소사업에 참여해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 실장에 따르면 2050년 글로벌 수소시장의 규모는 12조 달러(1경 6610조 원)에 달하고, 수소시장 규모는 6억 14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4억 2000만 톤을 교역할 것으로 봤다.
올해 5월까지 세계 59개국이 수소전략과 로드맵을 발표했고 미국의 경우 Hydro shot법과 청정수소 인프라에 투자하는 BIL법, IRA법을 통해 수소경제를 육성하고 있다. 특히 BIL법안에 따라 작년 10월 미국 전역에 7개의 수소 허브 도시를 설정했다.
일본의 경우 그린 전환(GX) 기본 방침을 작년 2월 발표하고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구축을 위한 지원제도를 마련했다. 재생에너지를 핵심 에너지원으로 선택한 독일은 잉여전력을 수소로 저장하며 수소경제를 키웠다.
하 실장은 특히 세계 수전해시장이 2030년 242GW로 급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저탄소 수소를 중심으로 수소 교역망이 2050년 형성되고 국경을 가로질러 수소 배관이 거미줄처럼 형성될 것이라고 봤다. 2040년 경 유럽 28개국에 5만 3000km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경제가 세계적으로 성장세여서 국내도 예산 확보와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국에너지법학회 이종영 회장은 △일반수소와 청정수소산업 발전 기반 구축 △수소특화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원 △수소거래소 설립과 운영 △수소배관망 인허가 창구단일화를 역설했다.
국내에선 일반수소발전입찰제도와 청정수소발전입찰제도, 청정수소인증제도가 이미 도입된 상태다.
문제는 수소특화단지를 지정해도 지역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기업들이 본사와 공장 등 사업소를 옮기기를 주저한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수소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수소거래시스템을 고도화하는데도 애를 먹고 있다. 수소배관망을 확보하는 것도 과제다. 수소배관망을 원활이 확보하기 위해 인허가 과정을 단순히 하자는 요청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