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롯·카카오 등 올 상반기 또 적자 행진
포트폴리오 다양화 실패에 실적 개선 불투명
자동차 보험 적극 투자하며 실적 반전 노려
[데일리한국 최동수 기자] 디지털 보험사들이 올해도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야심 차게 출범했지만 제한적인 상품 구조로 성장 정체가 지속되면서 독자 생존까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보험사들은 장기보험 상품 판매를 늘리는 등의 노력으로 수익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실적 반전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업계에선 매각 이야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다만 최근 자동차보험 시장의 흑자 구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매각보다는 수익구조 개편에 집중하고 있는 중이다.
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캐롯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 카카오페이손해보험, 신한EZ손해보험 등 디지털 손보사와 유일한 디지털 생명보험사인 교보라이프플래닛은 올해 상반기에도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화손해보험이 2019년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과 손잡고 설립한 국내 1호 디지털 손해보험사인 캐롯손보는 올 상반기 16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캐롯손보는 자동차보험 시장에서는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했지만 아직 수백억 단위 손실을 보고 있다. 2021년 650억원, 2022년 785억원의 적자를 냈다.
거대 플랫폼을 등에 업고 지난해 10월 출범한 카카오페이손해보험도 지난해 262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도 8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지금과 같은 손실 추이가 이어질 경우 올해 적자 규모가 지난해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그룹 내 디지털 손보사들도 상황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하나손해보험은 올해 1분기 손실 규모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흑자에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 하나손해보험은 10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지만 1년 새 순익이 188억원 감소하며 올해 1분기 83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 신한금융지주의 16번째 자회사이자 디지털 손보사로 공식 출범한 신한EZ손해보험 역시 올해 1분기 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교보생명 자회사이자 생보업계 유일한 디지털 보험사인 교보라이프플래닛도 상반기 91억1400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은 2020년 132억원, 2021년 159억원, 2022년 139억원, 올해 상반기 91억원 적자를 내는 등 10년째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일각에선 디지털 보험사의 실적이 매년 악화되면서 매각·통합 등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 중장기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부 보험사는 이러한 우려에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며 선을 그었지만 대형 보험사들은 디지털 보험사들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보험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시국에 맞춰 비대면 시스템 등 디지털 보험사에 맞는 상황이 갖춰졌다고 생각했지만 기존 보험사들의 벽이 높았다"며 "상품 개발 등 생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부족한 포트폴리오 악화가 실적 개선 막아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시스템이 정착하고 MZ세대의 지출이 점차 늘어나면서 디지털 보험 판매가 늘고 있지만 디지털 보험사들의 실적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는 이유는 단기 소액(미니)보험, 손해율이 큰 자동차보험 위주의 포트폴리오 때문이다.
자동차보험을 제외하면 디지털 손보사들의 주력 상품은 대부분 보험료가 1만원 미만이다. 가입 기간도 일회성이거나 2~3일, 길어봤자 1~2년으로 단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장기적인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다. 실제 캐롯손보는 보험영업 부문에서만 지난해 314억원 손실을 봤는데 이 중 90%가 주력 상품인 자동차보험에서 나왔다.
이에 대해 박희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소액·단기보험 중심의 판매가 이뤄져 보험사 수익성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일반 보험사들은 보험영업이익이 떨어질 경우 자산운용을 통한 투자 영업이익으로 이를 상쇄할 수 있지만 디지털 손보사들은 수취하는 보험료 규모가 적은 탓에 이마저도 어렵다. 이와 더불어 장기보험 특성상 고객에 충분한 설명과 이해가 요구되는 만큼 설계사의 대면 설득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보험사 관계자는 "설계사를 쓸 수도 없고 대면 영업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홍보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라며 "디지털 보험사도 국내 시장에만 한정하지 않고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자동차 보험·포트폴리오 확장으로 위기 극복
다만 업계에선 코로나19 이후 자동차 보험 시장의 흑자 구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디지털 보험사들 역시 만년 적자 구조를 만회할 수 있는 기회라고 예측했다. 특히 자동차 보험 위주로 상품을 판매 중인 하나손해보험과 캐롯손해보험은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하나손해보험은 커넥티드 카(정보통신 연계 차량)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UBI 보험 신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운전한 날짜만큼 보험료를 내는 상품으로 별도의 장치를 장착할 필요 없이 커넥티드 카의 통신 기술과 연동해 전송된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보험료까지 자동 정산 및 결제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방식인 마일리지 특약 등이 있었지만 운전한 날짜만큼 보험료를 내는 상품은 처음이다.
하나손해보험 관계자는 "최근 해외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텔레마틱스 장치를 통해 과속, 제동, 차량 주행시간과 같은 정보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UBI 보험이 성장하는 추세다"라며 "이를 반영해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커넥티드 카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내놨다"고 설명했다.
캐롯손보도 주력 상품인 퍼마일자동차보험을 확장할 예정이다. 지난 10일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티맵(TMAP)과 손잡고 안전운전을 하는 퍼마일자동차보험 고객을 대상으로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특약 상품을 내놨으며 향후 안전운전에 따른 혜택을 늘리고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또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사활을 걸고 있다. 최근 디지털 보험사들은 4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어린이보험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수익성이 높은 어린이보험과 태아보험을 위주로 상품 개발에 나섰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는 30대 이하 젊은 고객층의 수요 파악에 집중해 다양한 맞춤형 소액·단기보험 상품을 출시하고 30·40대 소비자를 위한 저축성 상품 라인업을 강화해 온라인채널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