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반도체 기업 인수합병 기대감…미래동력 절실

올해 공급망 병목·소비심리 위축 등에 위기감 커져

반도체는 미중 무역분쟁 등 악조건 속에서도 자신감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이 2020년 10월13일 네덜란드 ASML에 방문해 노광장비 내부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데일리한국 김언한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그룹의 오너3세다. 고(故) 이건희 회장의 뒤를 이어 삼성전자를 이끌고 있다. 갑질 등 사회의 부정적 시선이 강한 개인적 일탈이 없었던만큼 오너3세들 가운데 긍정 여론이 많은 편이다.

이재용 부회장의 최대 과제는 '뉴 삼성'의 성공이다. 2020년 10월 이건희 회장 별세 후 올해로 승계 3년차에 접어든 이 부회장은 오너 경영자로서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기대를 받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말 파격적인 인사를 통해 뉴 삼성의 닻을 올렸다.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소비자가전(CE), IT·모바일(IM)부문 수장을 바꿔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특히 CE부문과 IM부문을 통합해 DX부문을 새로 꾸리는 등 변화를 줬다.

이 부회장은 '초격차'를 통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 등에서 후발주자들의 추격을 따돌려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공장 생산차질, 원재료 및 물류 비용의 증가가 수출의 불안 요소다.

이 부회장 또한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여러차례 위기감을 드러내 왔다. 2020년 5월 이 부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노조 문제 등과 관련해 발표한 대국민 사과문에서 "삼성을 둘러싼 환경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시장의 룰은 급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해 6월 이 부회장은 DS부문 사장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시간이 없다"며 "미래 기술을 얼마나 빨리 우리 것으로 만드느냐에 생존이 달려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올해 삼성전자는 이 부회장 명의의 신년사를 별도로 발표하지 않았지만 안도해선 안된다는 위기감을 내비쳤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과 경계현 대표이사 사장은 공동 명의의 신년사를 통해 "선두 사업은 끊임없는 추격을 받고 있고, 도약해야 하는 사업은 멈칫거리고 있다"며 임직원에게 경계심을 가져야함을 당부했다.

◇ 세대교체 끝낸 '뉴삼성' 신사업 투자 기대감

지난해 8월13일. 이 부회장은 재수감된 지 207일만에 가석방 출소, 경영에 복귀했다. 재계에선 지난해말 이 부회장이 파격적인 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한만큼 신사업 투자에도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줄 것이란 기대감이 많다.

삼성전자의 핵심은 반도체 사업이다. 시장에선 삼성전자가 당분간 D램 설비투자에 보수적인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비메모리반도체는 수요 대비 공급이 크게 모자라는 만큼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삼성전자는 대만의 TSMC와 미세공정에서 촌각을 다투고 있다. 삼성전자가 올해 상반기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을 적용한 3나노 반도체 양산에 성공하면 TSMC를 기술적으로 앞지르게 된다.

이 부회장이 미국 테일러시에 새로운 공장을 짓기로 결정을 내린 만큼 파운드리 산업에서 TSMC에 대한 삼성의 추격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가 2024년부터 미국 테일러 공장에서 반도체 양산을 시작하면 기술력 뿐 아니라 수주량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날 것이란 기대감도 크다.

사진=연합뉴스
이 부회장이 미래 먹거리를 위해 공격적인 인수합병(M&A) 전략을 펼지도 관심사다. 삼성전자는 2017년 하만을 인수한 이후 굵직한 인수합병 사례가 없었다. 이 부회장은 당시 하만 인수전을 진두 지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의 새로운 동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있다. 독일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 네덜란드 NXP반도체 등이 인수합병 후보로 거론된다.

◇ 이재용의 반도체 자신감

이 부회장이 특정경제범죄법상 '취업 제한' 대상으로 묶여 운신의 폭이 좁은 점은 경영활동의 걸림돌이다. 재계에선 이 부회장의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위해 특별사면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는 반도체 산업 특성상 전문 경영인의 역할 범위에는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오너의 결단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반도체는 최첨단 산업 특성상 투자 시기를 놓치게 되면 수년내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

이 부회장은 반도체 사업과 관련해 미·중 무역분쟁 등 악조건 속에서도 경쟁 우위를 이어갈 것이란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 부회장은 2019년 1월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반도체 시장이) 좋지는 않지만 이제 진짜 실력이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부회장은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도 변화를 모색하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했다. 문 대통령이 "우리는 반도체 비메모리 쪽으로 진출은 어떤가?"라고 질문한 데 대해 이 부회장은 "결국 집중과 선택의 문제"라며 "기업이 성장을 하려면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재용 부회장이 평택에 있는 극자외선(EUV) 전용 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올해 이 부회장 앞에 놓인 과제는 산적해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재확산, 공급망 병목 현상, 물가 상승 압력 등을 원인으로 대내외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세계은행(WB)은 최근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해 5.5%인 글로벌 성장률이 올해 4.1%, 내년 3.2%로 각각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WB의 지난해 6월 예상치보다 0.2%포인트(p) 떨어진 것이다.

특히 WB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이 세계 경제 활동을 계속 교란하고, 미국과 중국의 경제 침체는 신흥국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이한 고세 W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경제에 대해 "심각한 경기 둔화가 진행 중"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모두 고공행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세계 소비심리 둔화로 인해 올해 삼성전자의 사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