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벌컨포를 운용하는 장병들. 사진=합참/연합뉴스
 20㎜ 벌컨포를 운용하는 장병들. 사진=합참/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성수 기자]군 당국이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 확충에 나선다. 이는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이후 나온 후속 대응책이다.

4일 연합뉴스와 국방부에 따르면 군은 감시·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드론사령부를 조기에 창설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창설을 지시한 드론부대가 사령부 형태로 꾸려지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군으로부터 무인기 대응 대책을 보고받고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게 4가지 지시사항을 전달했다. 감시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 수행하는 합동 드론부대 창설, 탐지가 어려운 소형드론 연내 대량생산 체계 구축, 스텔스 무인기 생산 박차, 신속한 드론 킬러 체계 개발 등이다.

국방부는 이날 지시사항 중 스텔스 무인기, 소형 드론 등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실제 올해 안에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군은 또, 드론을 잡는 ‘드론 킬러 드론’ 체계도 신속하게 개발하기로 했다. 드론 킬러 드론은 적 드론을 격추하거나 떨어뜨리는 드론을 말한다.

군은 감시·정찰·타격용 드론과 무인기 확보뿐 아니라 적의 드론·무인기를 찾아내고 격멸하기 위한 대책도 추진한다. 레이더 등 탐지 자산은 접적 지역 전방에 대한 광역 감시·식별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군은 탐지와 동시에 어떤 물체인지 식별하고, 다수의 항적을 동시에 추적하며, 저공비행까지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번 북한 도발 당시 무인기를 가장 먼저 탐지한 국지방공레이더(TPS-880K)를 확충한다.

또, ‘드론건’(재머·전파방해장치) 등을 새로 확보해 민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특히, 무인기 표적 정보가 실시간으로 연동돼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다만, 드론·무인기 탐지·방어 자산의 도입 시점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