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서 3세대 갈아탄지 불과 5년...실손 적자에 이번엔 4세대 승환 유도
[데일리한국 박재찬 기자] 지난 2017년 출시 이후 처음으로 보험료가 인상되는 3세대 실손보험의 가입자들이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4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지난 5년간 누적된 적자 탓에 올해만 보험료가 14% 인상되기 때문이다.
일부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 사이에서는 5년전에 3세대 실손보험이 처음 출시됐을 때는 금융당국과 보험사들이 2세대 실손보험에서 3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라더니, 또 적자가 났다고 이번엔 보험료를 올리고 4세대 실손보험으로의 승환을 유도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실손보험료가 1세대 평균 6%, 2세대는 9%, 3세대 14% 수준으로 인상되고, 4세대 실손보험은 인상되지 않는다. 가장 크게 인상되는 3세대 실손보험은 2017년 출시 이후 지난 5년여간 보험료를 한번도 인상하지 않았다.
실손보험은 가입시기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까지로 구별된다. ‘구 실손’으로 불리는 1세대 실손보험은 2003년 10월부터 판매를 시작해 2009년 9월까지 판매된 상품으로 가장 큰 특징은 자기부담금이 없고, 만기가 80세 또는 100세고, 갱신주기는 3년 또는 5년으로 만기와 갱신주기가 가장 길다.
이후 2009년 10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판매된 2세대 실손보험은 여러 차례 갱신을 통해 가장 장수한 상품으로 ‘표준화 실손’으로 불리기도 한다. 2009년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판매된 실손보험은 처음으로 자기부담금 10%가 생겼고, 100세 만기, 3년 갱신 상품이다. 또 2013년 4월 만기 15년이고, 갱신은 1년으로 다시 갱신됐다.
신실손으로 불리는 3세대 실손보험은 2017년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판매된 상품으로 자기부담금이 기본형 20%와 특약은 30%로 나눠졌고, 보장내용은 2세대 상품에 도수치료·비급요 주사·비급요 MRI 특약이 추가됐다.
올해 7월부터 판매된 4세대 실손보험은 앞선 상품과 마찬가지로 갱신은 1년으로 동일하지만,만기는 5년으로 짧아졌다. 특히, 이 상품은 손해율 상승의 주원인인 비급여 전체를 특약으로 분리해 비급여 이용량에 따라 보험료가 상승하는 차등제를 도입했다.
그렇다고 올해 모든 실손보험 가입자의 보험료가 인상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 평균 6%, 9% 인상될 예정인 1세대, 2세대 실손보험은 갱신주기가 3년 또는 5년이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소비자의 보험료만 인상된다. 그리고 2014년 이후 실손보험에 가입한 소비자는 매년 보험료가 갱신된다.
전체 손보사에 가입된 실손보험 가입자 수는 1세대 720만명, 2세대 1281만명, 3세대 738만명, 4세대 151만명이다. 문제는 출시 5년만인 올해 처음으로 보험료가 인상되는 전체 가입자 중 25.5%에 달하는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다. 그동안의 누적 적자가 한꺼번에 반영되면서 올해만 무려 14%의 보험료가 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의 4세대 실손보험으로의 전환이 대거 이뤄질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기존 실험보험 가입자가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하면 보험료를 50% 할인해주는 계약 전환 특별 할인 혜택이 지난해 연말에서 올해 6월까지로 연장되면서 3세대와 4세대 실손보험료의 보험료 차이가 연 10만원 이상 벌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과 보험업게가 자기부담금 확대, 만기와 갱진주기 축소 등 소비자 혜택을 줄인 실손보험으로 소비자들이 갈아타도록 유도할 것이 아니라 과잉진료, 의료쇼핑 등 실손보험료 인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세대 실소보험에 가입한 소비자는 “3세대가 처음 출시됐을 때는 기존 실손보험 고객들을 옮기라고 유도하더니, 보험료 인상시기에 맞춰 새로운 실손보험 내놓고 또 갈아타락 유도하고 있는 것 같다”며 “나중에 실손보험 적자가 커지면 소비자들은 5세대, 6세대 실손보험으로 매번 갈아타야 하는 것이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4세대 실손보험 출시로 과도한 보험료 부담이 걱정되는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늘릴 수 있다”며 “실손보험 제도 개선을 통한 장기적 안정화를 통해 적정보험료를 유지한다면 전체 소비자에게는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