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등 10개 식품사, 정부 요청에 닭고기 공급 안정화
공정위, '가맹 분야 실태 조사' 진행…마진율 실태 점검

bhc 종로점. 사진은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bhc 제공
bhc 종로점. 사진은 내용과 관계없음. 사진=bhc 제공

[데일리한국 홍정표 기자] 육계 가격 인상에 따라 정부 주도 하에 하림 등 주요 생닭 공급사들이 닭고기 공급량을 늘리면서 가격 안정화에 나선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는 앞서 정부가 라면, 제과, 제빵 등 식품업계에 밀가루 가격 인하를 두고 제품가 인하를 압박한 사례처럼 치킨에도 가격 인하 여론이 조성될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하림은 다음달 하순부터 미국 또는 유럽연합에서 매주 30만개씩 8주간 종란 총 240만개를 수입해 사육 계약 농가에 공급한다.

종란을 수입해 이를 육계로 출하하기까지 통상적으로 최소 55일이 소요되는 만큼 시장 공급은 오는 10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했다.

하림이 육계 공급량 확대에 나서는 것은 최근 육계 공급량 감소에 따라 가격 인상이 오르자 정부에서 가격 안정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업계에 협조를 요청한 까닭이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하림, 동우팜투테이블, 체리부로 등 10개 회사와 국내 닭고기 수급조절협의회를 가졌다.

정부는 삼계탕의 주 재료인 삼계는 공급량 안정으로 도매가격이 전년 초복에 비해서 낮은 상황이지만, 치킨과 햄버거 등에 사용되는 육계의 공급량이 부족하다 판단해 이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상시라면 원재료 중 가장 원가 비중이 큰 생닭 가격 안정화를 반길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외식업계에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가맹 분야 실태 조사’에서 치킨 프랜차이즈에 대해 살펴보겠다고 칼을 빼든 만큼, 간접적인 압박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정위는 전날  “오는 9월 27일까지 가맹본부 200곳과 가맹사업자 1만2000곳을 대상으로 가맹 분야 실태 조사를 진행한다”며 “차액 가맹금(마진) 과다 수취가 주로 문제가 되는 치킨 등 외식업종에 대해 집중적으로 실태 점검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달 식품업계가 정부 압박에 따라 라면, 과자, 빵 등 가격을 인하한 상황에서 프랜차이즈 치킨 기업들은 가격 인하 여론이 형성될 수 있을 것도 우려했다.

하지만 지난해 원가 상승에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는 육계 등 원자재 가격 상황을 지켜봐야하겠지만, 당분간 가격 인하 할 수 있는 상황이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나흘간 이어진 호우로 논산천 제방이 붕괴되어 물에 잠긴 충남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 한 양계장의 16일 오후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수해로 인해 닭 53만여마리가 폐사해 당분간 육계 가격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데다, 오는 10월 이후 가격이 안정화된다고 하더라도 가격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더군다나 육계 가격이 안정화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오를때로 오른 물류비, 가스비, 전기세 등 부대 비용 증가 부담도 크다.

실제로 지난해 치킨업계는 대다수 업체들이 영업이익이 하락하며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교촌치킨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9억원으로 전년 대비 90% 줄었으며, bhc도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8% 감소했다. BBQ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5% 늘었지만, 매출 증가율을 하회하며 영업이익률은 오히려 1.52%p 떨어졌다.

교촌치킨은 지난 4월 영업실적 악화로 주요 메뉴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했다. 그나마 bhc는 2021년 12월, BBQ는 지난해 5월 대표 메뉴 가격을 최대 2000원 인상한 후 동결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이미 육계 가격을 비롯한 원자재 뿐만 아니라 인건비, 물류비 등 매장 운영 비용이 많이 증가했다”며 “최근에는 엔데믹으로 매출이 줄어드는 등 매장 운영도 어려워 가격을 내리는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