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동산 회복으로 인한 대출 증가 경계
[데일리한국 안효문 기자] 국내 가계부채 전망을 놓고 정부와 금융권 간 온도차가 극명하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 연착륙에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대출 증가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며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8일 연합뉴스 등 따르면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 정부도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 금융당국 내 중론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연합뉴스 등에 "금융기관별로 보고서를 다 받으면서 비교적 잘 관리하는 중"이라며 "경제에 주름이 지지 않도록 하면서 소프트랜딩(연착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윤석열 정부 들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다소 줄어드는 흐름을 만들어낸 것에 주목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5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21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5.4% 정도였는데, 지금은 102%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9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전월 대비 1조원 가량 줄 것이다. 주담대 증가 폭도 전월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같은 날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가 연착륙하고 있다고 진단한다”며 "늘어날 가능성보다는 대출 증가폭이 줄고 GDP 대비 비율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반면 금융권은 부동산 경기 영향에 따른 중단기 가계부채 리스크를 경계하는 모습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회복이 집단대출 및 전세대출 수요 증가를 야기, 가계대출이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KB 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5만2592건으로, 올해 1월(2만5761건)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계절적 요인을 고려해도 예년보다 가파른 회복세라는 것이 업계 전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하반기 주택거래 및 분양 입주 물량이 증가하고 부동산 투자심리가 살아나는 점이 주택 관련 대출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당국의 상생 금융 확대에 따른 금리 인하 정책이 나온다면 소비자 부담이 줄어 가계대출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