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이상 저렴한 무해지 보험 연이어 출시
단기 실적을 위한 손보사 과열 경쟁 계속
추후 재무 건전성·소비자 피해 우려도
[데일리한국 최동수 기자] 손해보험사들이 단기 실적을 챙기기 위해 반값보험으로 불리는 '무해지 보험'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다. 일반상품보다 저렴한 무해지 보험에 보험 소비자들도 관심을 보이면서 손보사들은 출혈 경쟁도 마다하지 않는 모습이다.
손보사들의 무해지 보험 판매 경쟁에 대해 업계에선 단기 실적에만 몰두하는 행태는 추후 재무 리스크로 다가올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 보험사의 건전성 악화가 현실로 다가오면 고객들 역시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금융당국도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4분기(10~12월) 업계 전체의 신규 계약(인보험 기준) 매출 중 무해지 보험의 매출은 911억원으로 47.4%를 차지했다. 2022년 1분기에 21.6%를 기록했던 무해지 보험 매출은 1년 새 2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 2015년 7월 처음 등장한 무해지 보험은 납입 기간(통상 20~30년) 중에 해지할 경우 환급금이 없고 납입 기간 후 해지하면 50% 정도만 돌려주는 상품이다. 환급금이 적은 대신 보험료가 동일한 보장을 하는 표준형 상품에 비해 거의 절반 수준으로 저렴해 '반값 보험'으로 불린다.
무해지 보험은 첫 출시 당시 순수 보장성 20년 이하 전기납 상품에만 허용됐지만 2019년 규제 완화로 시장 규모가 급격히 커졌고 당장 보험료를 아끼려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최근에도 메리츠화재가 오는 8일까지 일주일간 판매하는 무해지 보험 상품을 출시하기도 하는 등 손보사들은 상품의 가격을 낮춰 2주 이내로 단기간 판매하는 방식으로 출혈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단기로 판매하는 상품이라는 마케팅과 30% 이상 저렴한 보험료로 인해 많은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다"며 "당분간 이러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단기 실적위해 경쟁적으로 판매
손해보험사들이 무해지 보험을 경쟁적으로 판매하는 이유는 실적 때문이다.
새 회계제도(IFRS17)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보험사 실적 하락이 예상되면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 무해지 보험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예상 해지율을 높이고 보험료를 낮춰 단기적으로 판매량을 늘릴 수 있는 무해지 보험은 추후 소비자에게 지급해야 할 환급금도 없다 보니 이익을 크게 잡고 많은 수익을 거두기에 좋다.
또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무해지 보험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 역시 손보사들이 과열 경쟁을 벌이는 주된 요인이다. 보험사 관계자는 "최근 무해지 보험에 대한 문의가 지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다"며 "일부 보험사가 판매하면서 기존 보험의 계약 변경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보험을 제외하고 주력 상품이 없는 일부 손해보험사의 경우 무해지 보험을 통한 고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보면 실적 개선에 무해지 보험만 한 상품이 없다"며 "중소 손해보험사들은 무해지 상품을 통해 고객을 끌어오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과열 경쟁이 재무 건전성 악화·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도
다만 일각에선 이러한 무해지 보험 판매가 현재는 실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추후 보험사 재무 건전성 악화로 귀결되고 보험료 인상, 해약 유도 등의 소비자 피해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도 예상 해지율과 관련된 책임준비금 적립 부담으로 인해 재무 건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험사가 설정한 해지율보다 가입자가 계약을 오래 유지하면 지급 부담도 커진다는 것.
보험업계 관계자는 "전문가들은 오는 2040년부터 무해지 보험에서 손실이 나기 시작해 이후 30여년 동안 100조원 가까운 손해가 누적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무해지 보험 때문에 1990년대 이후 보험사 5곳이 연쇄 파산한 바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무해지 보험을 두고 2022년 말 해지율 모범규준을 제정하는 등 여러 차례 대책을 발표했지만 해당 대책들에 대한 실효성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규제·감독 활동에 나서야 한다는 비판은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재무 건전성 차원에서 해지율을 가능한 한 보수적으로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금감원이 보험사 실적 부풀리기에 악용되는 상품을 규제하거나 해지율 관련 기준을 엄격하게 잡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오히려 보험사 사이트 가입이 더 저렴...보험상품 비교·추천 플랫폼 '반쪽' 우려
- 펫보험 가입률 1%대 지지부진하지만..."내일의 블루오션" 선점경쟁
- 보험 5곳·카드 1곳·저축은행 3곳...제2금융권 인수·합병 '해 지나도 안갯속'
- 보험계약마진 확보 총력전...생보사 vs 손보사 '건강보험' 올인
- 자동차보험 3년 연속 인하...중소형 손보사들 아예 판매 포기 가능성도
- 약학정보원? 보험개발원?...실손보험청구 전산화 '갈팡질팡'
- 보험 10건 중 6건 '고아계약'...GA설계사 과열 스카우트에 고객 피해 속출
- 메리츠 약진에 손보업계 '1강 4중'서 '2강 3중' 지각변동..."큰 의미없다" 의견도
- 손보사들 '생존 위한 지키기' 올인...자동차보험 보장·서비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