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용구 기자] 국내 기업들의 혁신 활동 지표는 개선됐으나 2010년대 이후 생산성은 크게 둔화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26일 발표한 ‘혁신과 경제성장-우리나라 기업의 혁신활동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혁신 활동 지표가 글로벌 상위권을 나타내고 있지만 생산성 성장세가 크게 둔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출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4.1%로 세계 2위(2022년 기준), 미국 내 특허 출원 건수는 4위(2020년 기준)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성 증가율은 지난 2001~2010년 연평균 6.1%에서 2011~2020년 0.5%로 떨어졌다. 

특히 미국 내 특허를 출원할 정도의 우수한 기업을 일컫는 ‘혁신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2001~2010년 연평균 8.2%에서 2011~2020년엔 1.3%까지 급락했다. 

보고서는 대기업의 경우 혁신 실적의 양은 늘었지만 질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미국에 출원한 특허 건수 가운데 대기업이 기여한 비중이 약 95%를 차지했어도 대기업의 특허 피인용 건수는 중소기업과 크게 차이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중소기업은 혁신자금 조달의 어려움 가중, 신생기업 진입 감소 등으로 생산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기초연구에 대한 국내 기업의 지출은 계속 줄어 지난 2010년 총지출의 14% 수준에서 2021년엔 11%까지 낮아졌다.  

보고서는 △기초연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산학협력 확대 △혁신 클러스터 활성화를 제안했다.

또한 벤처캐피털에 대한 기업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투자자금의 중간 회수가 원활토록 인수·합병(M&A)과 기업공개(IPO)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