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국회 보좌진으로 입문해 자원·에너지 전문가로 성장

2005년 국회에서 보좌진으로 일하기 시작한 박현숙 보좌관은 해외자원개발외교와 전력산업정책을 심도있게 파헤쳐 자원·에너지 전문가라는 평판을 받고 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2005년 국회에서 보좌진으로 일하기 시작한 박현숙 보좌관은 해외자원개발외교와 전력산업정책을 심도있게 파헤쳐 기자들 사이에서 '자원·에너지 전문가'라는 평판을 받고 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12년 간 국회에서 의원 보좌진으로 활동해온 박현숙 보좌관(송갑석 의원실)은 해외 자원개발과 전력산업 정책을 주로 담당해온 자원·에너지 전문가로 불린다.

21대 국회 만료일인 29일 만난 박 보좌관은 10년 넘게 이어온 국회 보좌진 생활을 순간순간 또렷히 기억했다.

2005년부터 국회 보좌진으로 일하기 시작한 그는 2012~2014년 영국 서섹스대학에 유학해 ‘연계된 자율성(Embedded Autonomy, 국가 이론 중 하나)’을 주제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다시 복귀해 21대 국회 막바지에 보좌관 타이틀을 달았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자원개발 난맥상을 파헤친 것을 계기로 자원·에너지 분야와 연을 맺었다.

박 보좌관은 “박근혜 정부 시절 국회에서 이명박 정부의 자원개발 진상을 조사했는데, 보고받은 당시 노영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이 해외자원개발외교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꾸려 일이 커졌다”며 “당시 모시던 의원을 보좌하며 조사한 내용으로 인해 기자들 사이에 자원개발 전문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난맥상을 파헤치는 동안 그의 관심은 ‘실체적 진실’이었다. 

그는 “자원개발 특위가 충분히 성과를 냈기 때문에 남은 일은 재발 방지였다”며 “이명박 정부의 일을 두고 박근혜 정부를 국정조사하는 일이 어색하다고 생각해 당시 국정조사에는 반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의지와 달리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가 시작됐고,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이 터지면서 그 국정조사는 자동적으로 종료됐다. 

그가 에너지와 두 번째로 인연을 맺은 건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시작할 무렵이었다. 당시 의원의 지시로 탈원전 비용을 추산했다. 이후 6년 간 전력산업, 전력정책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21대 국회에선 호남RE300 구상을 구체화해 정리했고 ‘국가기반 전력설비 확충 기본법’의 근간을 만들었다. 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을 위한 구상이고 입법이다.

그는 ‘원전은 보수, 재생에너지는 진보’라는 이분법적 편견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해상풍력사업단이 꾸려진 건 이명박 정부 시절이었고 박근혜 정부는 태양광, ESS 산업을 지원했다”며 “나이 많고 보수적인 정치 스탠스를 가진 남성은 원전산업을 옹호하고 틀에 얽매이지 않는 활동가들은 재생에너지를 지지한다는 시각을 비판한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는 민생문제이지 정쟁 도구가 되서는 안된다”고 힘주어 강조했다. 

박 보좌관은 기후변화대응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기후특위 상설화도 좋지만 정부조직법을 개정해 국회에 상임위원회를 두는 게 보다 효과적이라고 봤다.

그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해선 전문조직과 인력, 예산이 필요하다”며 “국회 기후특위 상설화도 중요하지만 정부조직법을 개정해 기후환경에너지부 등 정부조직을 갖추고 이에 따른 국회 상임위원회를 설치하는 게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