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 6일 '프레스 세미나' 개최
[데일리한국 최성수 기자] “바이오텍들이 ‘죽음의 계곡’을 건너려면 벤처캐피탈(VC)‧사모펀드(PE) 투자유치와 SI(전략적 투자자)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정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이사는 6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프레스 세미나’에서 ‘신약 개발, 죽음의 계곡 어떻게 건널까’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벤처 기업은 초기부터 희망 투자가치에 도달할 시점까지 자본 조달에 있어서 죽음의 계곡이 존재한다. 바이오 산업의 경우 성공 가능성이 낮고 임상개발 비용 소요 등으로 이러한 죽음의 계곡 기간이 더욱 길 수 밖에 없다.
우 이사는 “의약품 개발을 하는 바이오텍 관점에서 봤을 때는, 신약이 나올 때뿐 아니라 신약이 개발되고 난 뒤에도 죽음의 계곡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오텍이 결국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은 자본 유치다. 하지만 바이오 섹터에 대한 관심이 이전 대비 멀어진 현 시점에서는 투자 유치를 받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이에 우 이사는 “바이오텍이 투자 유치를 위해 보다 영리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단순 기술력만 가지고는 투자유치를 이끌어내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그는 “과거에는 기술력만 있으면 상장할 수 있는 시기가 있었지만 투자자 우위 시대를 넘어가면서 대표이사들이 월급을 얼마 받는 지까지도 보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우 이사는 벤처캐피탈이 투자하고 싶게 만드려면 기술력 뿐 아니라 △주요인력 역량 △생동력 △회복탄력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력과 관련해 “언제 시장에 나갈 수 있는 기술들을 개발하는 지도 중요하다. 시장 진출 5위 이내 혁신 신약개발까지가 선으로 보고 있다”면서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와 자체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기업 투자유치에 유리한 요소”라고 말했다.
주요인력 역량은 연구역량, 개발역량뿐 아니라 관리역량, 메타인지도 포함한다.
우 이사는 “냉정하게 밖에서 봤을 때 내가 보유한 기술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받을 수 있는 지를 냉정하게 스스로 평가해볼 수 있는 메타인지가 필요하다”며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도 필요하다. 주주들과 소통하는 곳과 소통하지 않는 곳은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생동력은 회사 내 비전공유가 잘 이뤄지고, 부서간 네트워킹이 얼마나 활성화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은 자금관리 역량과 관련된다. 우 이사는 “바이오텍들이 너무 공격적인 타임라인을 잡을 때가 많다”며 “세상 일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라는 측면에서 보면 플랜b가 필요한 상황에서 플랜b가 있는 기업과 없는 기업은 분명히 차이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일스톤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적인 신약 개발 전략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라면 옥석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