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판 부식 등 안전문제로 정비기간 늘었기 때문"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한전의 상반기 적자가 ‘탈원전’ 때문이라는 일부 언론이 보도하고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상반기 원전 이용률이 낮은 것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원전 가동을 중지했기 때문이 아니라 격납건물 철판부식, 콘크리트 공극 등 과거 건설 원전의 부실 시공에 따른 보정 조치 등으로 인해 원전 정비일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산업부는 원전 정비일수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2016년 6월 한빛 2호기에서 격납건물 철판 부식이 발견된 이후 모든 원전을 점검했는데 다수의 원전에서 격납건물 철판부식(9기), 콘크리트 결함(11기) 등이 발견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원자로를 둘러싸고 있는 격납건물 철판과 콘크리트는 원자로 용기 용융 등 중대사고 발생시 방사선 누출을 막아주는 설비로서, 여기에 부식 또는 공극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방사선 누출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국민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최우선적으로 해결돼야할 사항이며, 이에 따라 한수원은 원전안전 관련 기준과 절차에 입각해 철저히 정비를 수행하게 된 것이라고 산업부는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정비가 완료된 원전의 경우 원자력안전법의 관련 기술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원안위 승인에 의해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고 있다.
호기별로 살펴보면, 격납건물 철판 정비, 콘크리트 공극 등의 문제외에도 원자로냉각재펌프 정비(신고리1·2), 가압기안전방출밸브 점검(신고리3), 수소감시기 설치(월성1), 증기발생기 내부 이물질 점검(월성3) 등에 대한 정비가 수행됐다.
우선, 고리 3, 4호기(각각 428일, 242일)는 격납건물 철판 정비로 정비기간이 지연됐고, 신고리 1, 2호기(363일·1일)는 원자로냉각재펌프 정비, 신고리 3호기(60일)는 가압기안전방출밸브 정비가 지연의 원인이 됐다.
이어, 한빛 3, 4, 5, 6호기(13일·381일·14일·140일) 및 한울 2, 5, 6호기(78일·6일·13일)는 격납건물 철판, 콘크리트 공극 등이 주된 지연원인으로 밝혀졌다.
월성 원전의 경우, 월성 1호기(379일)는 수소감시기 설치 및 격납건물 콘크리트 외벽 결함, 월성 2호기(2일)는 격납건물 콘크리트 외벽 결함, 월성 3호기(137일)는 증기발생기 내부 이물질 점검과 중수누출사건의 원인분석 등, 월성 4호기(4일)는 산소용기 압력조절기 불꽃발생사건 대응조치, 신월성 2호기(116일)는 주증기대기방출밸브 충격시험 오류 부품 정비 등이 주요 지연 사유가 됐다.
향후 한수원은 계획예방정비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올해 말에는 23기의 가동원전 중 최대 21기의 원전이 가동돼 하반기 원전 이용률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 전환은 60년 이상에 걸쳐 이행되는 장기계획으로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의 가동을 연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60여년에 걸쳐 자연 감소시키는 것”이라며 “2023년까지 추가로 5기의 신규원전이 준공 운영될 예정으로, 현재까지는 수명연장 중단 등 전환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전은 상반기 적자의 주요 원인이 발전자회사의 연료비 증가와 민간발전사로부터의 전력구입비 증가 등이라고 밝혔다.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유가가 33% 이상 급등했고, 유연탄 가격도 28% 동반 상승하는 등 국제 연료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발전자회사의 연료비 부담이 2조원(26.7%)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