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불안한 공모시장 상장 우회전략·다변화 지속
증권사 1분기 부진한 IB 수익 만회 기대
높은 가격으로 평가받기 위해 수익가치를 부풀리는 경향도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스팩합병을 통해 증시에 입성한 기업은 애니플러스(미래에셋대우스팩2), 네온테크(DB금융스팩6), 레이크머티리얼즈(동부스팩5), 지엔원에너지(하나금융스팩10), 나인테크(교보스팩7) 등 5곳이다.
스팩합병은 서류상의 회사와 비상장기업 간의 주식합병으로 비상장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9년 도입됐다.
스팩은 비상장기업의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페이퍼컴퍼니다. 주관사가 시장에서 공모를 통해 자금을 끌어 모은 후 증시에 상장시킨다. 이후 비상장 기업을 물색해 흡수합병시키는 방식의 우회상장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이 증시에 입성하는 주목적이 자금조달이란 점을 고려하면 스팩합병보단 일반적인 상장이 선호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최근 스팩합병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실물경기가 위축되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앞서 수요예측이 미달되는 사태가 잇따르자 수요예측이나 공모를 철회한 건수는 이미 10건을 넘어섰다.
코로나 팬데믹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증시 폭락에 상반기 실적 부침까지 겪는 기업에게 스팩합병 상장이 타개책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스팩합병은 상장을 원하는 기업입장에서도 최소 4개월이 소요되는 공모가 수요예측 과정이 없어 부진한 수요예측에 따른 낮은 공모가 부담을 덜 수 있다. 스팩합병을 통한 상장은 미래 예상실적 등을 반영한 합병가격을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입되는 공모금액을 사전에 정확히 가늠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자금 운용과 전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증시 변동성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스팩합병은 투자자나 증권사 입장에서도 투자위험이 낮다.
스팩은 상장 후 3년 이내에 합병 기업을 찾지 못하면 해산해야 한다. 합병 실패 시 주주들은 원금과 3년 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증권사들은 여러 개의 스팩을 상장해두고 합병 파트너를 물색하는데 이 가운데 한 곳만 성공해도 남는 장사다. 해산을 해도 손해를 보지 않는다. 여기에 증권사는 스팩 상장과 합병 때 수수료 수익을 거둘 수 있어 IB 실적에도 도움이 된다.
때문에 하우스와 기업 모두에게 윈윈전략이라는 평가다. 이에 증권사들도 스팩합병 상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NH투자증권도 현재 코스닥 시장에 총 4개 스팩을 상장 시켜놓고 있다. 엔에이치스팩 12호, 엔에이치스팩 13호, 엔에이치스팩 14호, 엔에이치스팩 15호다. 그 중 12호와 15호는 절차에 돌입했다.
하나금융투자도 1분기 부진한 IPO 실적을 스팩합병으로 정면 돌파에 나섰다. 하나금투는 올해 이미 하나금융 10호스팩을 완료했고 하나금융 9호스팩, 하나금융 11호스팩, 하나금융 13호스팩 등 4건의 합병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하나금융 14호스팩은 합병이 무산됐지만 현재까지 최대 규모다.
거래소에 합병상장 예비삼사 청구서를 제출해 심사를 통과했거나 앞둔 회사는 카이노스메드(하나금융스팩 11), 윈텍(하나금융스팩 13), 와이즈버즈(엔에이치스팩 12), 여수새고막(교보스팩 9), 아이비김영(엔에이치스팩 15), 덴티스(하나금융스팩 9), 오하임아이엔티(삼성머스트스팩 3), 비올(아이비케이스팩 11) 등 8곳이다.
이들이 합병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지난해 스팩합병 상장 실적(11곳)을 넘어서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증시가 반등하면서 IPO 시장에서도 일반 공모를 진행하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투자자들은 보수적”이라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스팩합병은 유용한 상장 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대형 증권사들도 신규 스팩상장을 잇달아 추진하고 있어 연말에 수요가 몰리는 병목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스팩합병을 통한 상장은 정식 기업공개 절차를 밟기 쉽지 않은 곳들도 많다”면서 “성장성이 뛰어난 기업도 있지만 상당수는 기존에 투자받은 단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평가받기 위해 수익가치를 부풀리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