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물가상승률 3.1%로 상향...당장은 ‘오미크론·경기’ 큰불 먼저 진화
[데일리한국 민병무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했지만, 이르면 4∼5월 다시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은 눈앞에 닥친 오미크론과 경기 등 큰불 먼저 끄겠지만 물가 급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전문가들은 4개월 연속 3%대에서 내려오지 않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 인플레이션 압력과 예상보다 강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기조 등에 대응하려면 올해 상반기 한 차례를 포함, 연말까지 2∼3회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보복소비에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겹쳐 물가 대응 필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기준금리를 1.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일 사상 최대 확진자 기록을 경신하는 오미크론 상황,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임박, 3월9일 대선 등의 대내외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잇따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려 세차례 연속 인상에 대한 부담감도 작용했다.
하지만 다음 4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 또는 늦어도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오를 것으로 보는 가장 강력한 근거는 무엇보다 최근 물가 급등세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2%) 9년 8개월 만에 3%대에 올라선 뒤 11월(3.8%), 12월(3.7%), 그리고 올해 1월(3.6%)까지 넉달째 3%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 상승 요인 중 하나인 글로벌 공급병목 현상에 뚜렷한 개선이 없는 데다, 최근 국제 유가까지 크게 올라 배럴당 100달러에 근접하고 코로나 유행 이후 억눌렸던 펜트업 소비(지연소비·보복소비)까지 더해져 인플레이션 압력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더구나 우크라이나 사태의 긴장까지 고조되면서, 국제 원자재·농산물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한은도 이런 상황을 반영해 이날 금통위 직후 발표한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3.1%로 크게 올려 잡았다.
한은이 당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대로 내놓은 것은 2012년 4월 3.2%(2012년 상승률 전망치) 이후 약 10년만의 일이다.
◇ 미국 3월 0.5%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한은 통화정책에도 영향
미국이 통화 긴축을 서두르는 것도 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지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참석자는 “물가상승률이 기대한 만큼 내려가지 않는다면 현재 예상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정책적 완화를 제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연준이 오는 3월 15∼16일 FOMC 정례회의에서 코로나 사태 이후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졌고, 심지어 일각에서는 3월 회의에서 연준이 0.5%포인트를 한꺼번에 올릴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예상대로 연준이 긴축에 속도를 낸다면, 한은으로서는 아무리 지난해 8월 이후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려왔다고 해도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만약 기준금리 등 정책금리 수준이 미국과 같거나 높더라도 차이가 크지 않으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미국의 급격한 긴축으로 달러 가치는 높아지는(달러 강세) 대신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데도 대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