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김택수 기자] 서울시가 용산정비창 일대 약 50만㎡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26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용산정비창 일대 개발 인허가권자인 서울시가 제시한 청사진으로, 2013년 한차례 무산된 용산정비창 개발이 다시 본격화될으로 보인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서울 한복판에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달하는 규모의 땅이다. 서울에 남은 마지막 대규모 가용지이자 미래 발전엔진이 될 잠재력 높은 중심거점이지만, 지난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된 이후 청사진 부재 등으로 10년째 방치돼왔다.
이에 서울시는 토지소유자인 코레일과 36차례 실무협의와 도시계획, 교통, 경제‧산업 등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발방향을 설정해 왔다.
서울시 구상에 따르면 용산정비창 일대는 초고층 마천루 사이에 공원과 녹지를 조성하고, 일자리와 주거·문화생활까지 도시의 모든 기능이 이 안에서 이뤄지는 '직주혼합' 도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서울시 최초의 '입지규제 최소구역'을 지정해 법적 상한 용적률 1500%를 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상업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우며, 고밀개발에 따른 악영향을 해소하고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 부지 대비 기반시설율(도로‧공원‧학교 등)은 40% 수준으로 정했다.
입지규제최소구역은 주거‧상업‧업무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용도지역 등에 따른 입지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건축물의 허용용도, 용적률, 건폐율, 높이를 별도로 정하는 규제특례다.
아울러 시는 대규모 중앙공원과 철도부지 선형공원 등 녹지생태공간을 곳곳에 조성해 지상부의 50% 이상을 녹지로 확보하고, 차량은 지하로 달릴 수 있도록 지하 교통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지하도로는 물론 미래교통수단인 미래항공교통(UAM) 등과 GTX,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1호 ‘모빌리티 허브’도 들어선다. 이를 통해 시는 용산을 서울 도심과 강남으로, 인천공항과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신 교통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을 추진하는 방법론에 있어서는 실현성을 높이는 데 방점을 뒀다.
시는 금융위기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커 과거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무산된 원인 중 하나였던 민간 PFV(프로젝트금융회사) 주도의 개발 대신, 공공기관인 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지분율 코레일 70%, SH공사 30%)로서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적‧순차적’ 개발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임기 때 추진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추진 동력을 잃어버린 상태였다”며 “더 늦기 전에 시작하겠다.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