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표준화 없인 제2의, 제3의 백내장 사태 불보듯 뻔해

실손보험금/제공=연합뉴스
실손보험금/제공=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재찬 기자] 보험업계는 ‘비급여 표준화’가 제2의, 제3의 백내장 사태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내놓았다.

새로운 비급여 진료가 빠르게 생기고 있는 만큼 실손보험 상품구조 개선만으로는 의료기관의 과잉진료와 일부 보험소비자의 의료쇼핑을 막기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보험업계는 비급여 표준화를 통해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가 투명하게 관리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손해보험협회는 ‘보험사기 특별신고’ 대상을 기존 백내장에서 하이푸, 갑상선, 도수치료, 미용성형 등으로 확대하고, 신고기간은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신고 시 포상금도 기존 최대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확대했다.

보험업계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경찰청, 금융감독원, 대한안과의사회 등과 공동으로 백내장 보험사기 조사 강화를 위해 ‘백내장 보험사기 특별 신고·포상금 제도’를 운영해 왔다. 그 결과 업계와 금감원을 통해 35개 문제 안과병원에 대해 60건의 신고가 접수됐고, 병원관계자 9건, 브로커 6건, 기타(환자 등) 45건 등이 접수됐다.

범죄유형별로는 백내장 과잉수술 12건, 허위입원 10건, 허위영수증 4건, 기타 34건 등으로 나타났고, 기타 34건은 브로커에 의한 환자 유인·알선 및 현금 페이백, 교통·숙박 제공 등이 해당한다.

보험업계에서는 제2의, 제3의 백내장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특별신고, 심사 등 사후조치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백내장 미지급 보험금 피해자들이 지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백내장 미지급 보험금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제공=연합뉴스
백내장 미지급 보험금 피해자들이 지난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백내장 미지급 보험금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제공=연합뉴스

의료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일부를 지급하고 나머지는 환자가 부담하는 급여 항목과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하는 비급여 항목으로 나뉜다. 실손보험은 환자 본인 부담액인 급여 중 건보공단이 지급하지 않는 나머지 금액과 비급여 항목을 보장한다.

비급여 항목의 진료행위나 치료재료를 병원에서 정할 수 있다. 문제는 비급여 진료 가격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으면서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불확실해졌고, 일부 의료기관에서 과잉진료가 만연해진 것이다.

실제 백내당 사태 이전에도 비급여 항목인 도수치료, 자기공명영상진단(MRI), 경피적 척추성형술, 맘모톰 유방양성종양절제술(맘모톰 수술), 비침습적 무통증 신호요법 등의 과잉진료가 문제가 된 바 있다. 또 미용을 목적으로 한 리쥬에이드와 키오머3 등의 피부과 시술과 갑상선 등이 제2의, 제3의 백내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반복되는 의료기관의 과잉진료 및 무분별한 의료쇼핑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비급여 표준화’가 거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거론되고 있다. 보험업계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미 오래전부터 비급여 코드 및 명칭 사용을 의무화하고, 청구가 많거나 시급한 비급여 항목부터 표준화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백내장 사태는 도수치로, MRI 등의 과잉진료를 겪으며 이미 예고됐던 일이었다”라며 “지금의 실손보험 구조에서는 제2의, 제3의 백내장 사태는 불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과잉진료와 의료쇼핑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신고나 심사강화 등 사후적 조치도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비급여 진료가 빠르게 생기고 있는 만큼 의료기관의 과잉진료와 보험 소비자의 도덕적해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비급여 표준화 뿐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