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지원에 이미지 제고와 자금조달 용이
사후보고서 등 철저한 관리감독은 필수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데일리한국 최동수 기자] 카드사·캐피탈사 등 여신업계에 녹색채권 바람이 불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에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으로 인정받는 녹색채권을 통해 사회적 책임 행보를 강화할 수 있고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이미지 제고'와 '조달 조건 개선'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녹색채권이 자금조달에 유리한 만큼 이른바 '그린워싱(위장 친환경)'을 막기 위한 가이드라인·사후보고서 등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5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지난 6월 25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3년 만기 500억원, 4년 만기 500억원, 5년 만기 100억원과 1400억원 등의 조건으로 발행했다. 조달 자금은 친환경 차 금융 확대를 위한 재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앞서 현대카드는 지난 2019년 8월과 2020년 9월에도 각각 2400억원·4500억원의 녹색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롯데카드도 지난달 4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만기 1년3개월 200억원, 2년 200억원 등의 조건으로 발행했다. 현대카드와 마찬가지로 이번 채권 발행으로 친환경 차 금융 지원과 친환경 운송수단 인프라 구축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올해 환경부가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자보전 지원 사업'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녹색채권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채권으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따라 친환경 경제 활동을 추진하는 기업들이 환경부의 가이드라인 기준을 충족해야만 발행할 수 있다.

환경부는 예산 약 77억원을 마련해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자 비용을 기업당 최대 3억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캐피탈사 역시 연이어 녹색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에 올해 금융권 최초로 지난 3월 6000억원의 녹색채권을 발행했고 지난달 우리금융캐피탈 역시 800억원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

우리금융캐피탈 관계자는 "친환경 전기차 시설대여 확대로 녹색금융을 확대하고 금융을 통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현대카드. 사진=현대카드.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현대카드. 사진=현대카드.

◇ 유리한 금리 조건·'착한 금융' 이미지 '일석이조'

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제2금융권이 녹색채권 발행에 앞장서는 이유는 ESG채권 가운데 자금 조달이 가장 쉽고 여전채와 비교해 금리조건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도 이자 비용을 일부 지급하면서 이 자금을 통해 여전사들은 '착한 금융'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또 올해부터 기존 가이드라인에서 빠졌던 '금융서비스'가 새롭게 포함되면서 카드사를 비롯해 제2금융권의 녹책채권 발행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되는 활동만 녹색채권으로 인정했지만 새 가이드라인에선 개인이나 기업의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구매·임차 시 금융권의 대출 등 금융서비스 제공 활동이 친환경 활동에 포함됐다.

실제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까지 발행된 녹색채권의 총 발행액은 5조2690억원, 총 발행 종목 수는 55개로 집계됐다. 일반 기업들의 발행이 늘면서 3월 6000억원, 4월 7000억원, 5월 8400억원, 6월 2조4390억원 등의 순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의 사업 포트폴리오에 녹색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점차 늘려가는 추세"라며 "ESG 강화가 기업 생존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향후 녹색채권 발행 규모는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국내외적 ESG 관련 사업 신뢰도 역시 녹색채권을 통해 높일 수 있다. ESG의 사회적 목적이 '친환경' '취약계층 지원'에 있는 만큼 낮은 금리로 친환경 사업 확장과 금융의 사회적 역할을 모두 충족할 수 있게 되면서 '그리니엄'(그린+프리미엄 합성어)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글로벌적으로 확대되면서 관련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ESG 활동 평가도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 사회적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 중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녹색채권 발행이 계속되는 만큼 '그린워싱(위장 친환경)'을 막기 위한 당국의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 지난 2019년 녹색채권 등을 발행한 국내 기업 120곳 중 사후보고서를 낸 곳은 19곳에 불과해 그린워싱 문제가 논란이 된 바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녹색채권 발행 이후 관련 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는지에 대해 사후보고서 등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전문적인 관리 조직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