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정훈 대표 “B2B 선점하고 글로벌 종합 로봇 기업으로”
21~22일 일반청약 거쳐 10월 코스피 상장 목표

지난 6월 ‘오토매티카 2023’을 참관한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왼쪽 두 번째)이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을 활용한 솔루션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두산로보틱스
지난 6월 ‘오토매티카 2023’을 참관한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왼쪽 두 번째)이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을 활용한 솔루션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두산로보틱스

[데일리한국 김정우 기자] “두산로보틱스는 기술력 고도화와 소프트웨어 플랫폼 강화를 통해 협동로봇 시장 전반을 아우르는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입니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의 대표가 14일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유가증권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2015년 출범한 두산로보틱스는 주요 사업 영역인 협동로봇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 패키지와 플랫폼 소프트웨어 사업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다. 2018년 제품 출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시현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글로벌 시장(중국 제외) 4위를 달성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이 같은 성장세의 배경에 회사의 핵심 경쟁력인 △고도화된 기술력 △업계 최다 라인업 △탄탄한 해외 세일즈 네트워크 구축이 있다고 강조했다.

두산로보틱스의 핵심 사업모델인 협동로봇은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며 물리적으로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로봇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전 직원의 약 40%를 연구개발(R&D) 인력으로 구성해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 왔으며 특히 업계 최고 수준의 힘 감지력과 충돌 민감도를 자체적인 기술로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이에 따른 로봇의 정밀 작업 수행 능력을 인정받으며 ISO 안전인증 최고 등급인 ‘PLe’, ‘Cat4’를 선제적으로 획득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또한 다양한 페이로드와 작업 반경을 지원하는 협동로봇을 다수 개발하며 업계 최다 라인업을 구축했다. 모든 6축 회전축에 토크센서를 내장한 ‘M시리즈(4개)’, 가반하중 25㎏으로 무거운 중량을 운반할 수 있는 ‘H시리즈(2개)’, 합리적인 가격으로 높은 속도를 구현한 ‘A시리즈(6개)’, 미국 위생안전기관 NSF 식품위생안전 인증을 획득한 F&B(식음료) 특화 협동로봇 ‘E시리즈(1개)’ 등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들 총 13개 협동로봇 라인업을 바탕으로 제조·서비스·의료와 같은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페이로드 20kg 이상의 협동로봇 시장에서 점유율 72%를 달성하기도 했다.

두산로보틱스의 글로벌 네트워크는 총 40여개국, 100여개의 국내외 세일즈 채널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전체 매출의 약 60% 이상을 해외(북미·유럽 등)에서 내고 있다. 2018년부터 지난해 5개년 연평균 성장률 46.1%를 기록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도 시현해왔다.

이에 힘입어 두산로보틱스는 지난해 5월 미국 텍사스주에 판매법인 설립을 완료하며 지속적인 해외 판로 확대와 외형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상장 후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페이로드 라인업 출시와 여러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라인업을 개발, 매출 성장 동력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솔루션 개발·판매를 통한 양질의 레퍼런스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사업 확장을 위한 해외 판매 채널 확대를 적극 추진한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다양한 산업과 사람들의 생활에 안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협동로봇 시장과 당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회사는 단기적으로는 B2B(기업 대 기업) 로봇 시장을 선점하고 장기적으로는 B2C(기업 대 고객)로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종합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두산로보틱스는 이번 상장에서 1620만주를 공모한다. 공모 예정가는 2만1000~ 2만6000원으로 총 예상 공모금액은 3402억~4212억원이다. 수요예측은 이달 11~15일 5일간 진행되고 오는 21~22일 일반청약을 거쳐 10월 5일 유가증권(코스피)에 상장 예정이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며 공동 주관사는 KB증권, NH투자증권, CS증권이 맡았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