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아시아나그룹이 부실했던 시기의 경영층들이 회사의 앞날은 고려하지 않고 오히려 부결을 종용하는 등 무책임하게 행동한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이달 30일 개최되는 아시아나항공 이사회의 주요 안건인 화물사업부 매각과 관련,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화물사업 매각 여부는 EU(유럽연합) 경쟁당국의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승인과 직결된 만큼, 아시아나항공의 운명이 걸린 사안이다. 업계에선 12조원의 부채가 쌓인 아시아나항공이 유일하게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대한항공과의 합병밖에 남지 않았다고 보고 있지만, 아시아나항공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화물사업부 매각 반대입장이 나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EU 경쟁당국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과 관련해 슬롯반납과 화물사업 매각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대한항공이 EU경쟁당국에 시정조치 방안을 제출하고 기업결합을 성사시키려면 이번 이사회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대한항공과 합병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채무불이행 등 심각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실제 올해 상반기까지 아시아나항공 부채는 12조원 수준으로, 현재 겨우 부채 이자만 감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임 아시아나항공 사장단을 중심으로 화물부분 매각을 반대하는 것을 두고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의 부실화 당시 경영진이 그 책임은 커녕, 회사 임직원의 큰 희생을 불러 올 수도 있는 방향으로 끌고가려 한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 아시아나 사장단의 화물사업 매각 반대이유 '오류 많다'
업계 전문가들은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매각은 국내 항공산업 경쟁력 및 국부유실'이라는 전임 아시아나항공 사장단의 주장에 대해서도 ‘말이 안된다’며 일축했다.
경쟁제한 해소를 위해 반납되는 일부 운수권의 경우엔 우리나라 국토부에서 추후 운수권 배분 절차를 통해 ‘국내 항공사’로 재배분 된다. 결국 국부유출과 무관하다는 것.
중복노선 슬롯의 경우는 일부 반납하게 되나, 대한항공은 국내 LCC를 대상으로 이관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승인을 받은 경쟁당국의 경우에도 해당 노선에 새롭게 진입할 의지가 큰 항공사들에게 슬롯이 이관될 예정이며, 국내 항공사가 이어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LCC로 장거리 노선 이관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걱정이라는 입장이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이미 국내 LCC가 미국 LA, 독일 프랑크푸르트, 호주 시드니 등 장거리 노선을 적극적으로 운영 중이며 대형기도 지속 추가도입하며 장거리 노선에 대한 비중 확대 의지를 비치고 있다”면서 “중국, 일본, 동남아에 풍부한 노선망을 가지고 있어, 장거리 노선과 함께 연계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임 아시아나항공 사장단의 ‘인수합병 장기화로 아시아나항공의 본원적 경쟁력이 고갈’ 주장도 원인 자체를 잘못 잡았다는 분석이다.
이 업계 관계자는 “2021년과 2022년에 아시아나항공이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화물사업 호황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었다”며 “경영 악화는 계속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실제 반기보고서 등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총 부채는 12조원, 부채비율은 1741%다. 지난 7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 7000억원을 갚고, 지난 21일 기간산업안정기금 2400억원도 반납하며 사실상 아시아나항공은 보유 현금이 바닥난 상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특별약정지원 1조8000억원도 이달 30일 만기가 된다.
업계에선 향후에도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등에 따른 영업환경 악화로, 아시아나항공의 독자 생존은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에 '올인'…정부도 도와야
대한항공 입장에서도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은 3년간 공을 들인 만큼 어떤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성사시켜야 되는 사안이다. 정부도 단순 기업간 결합으로만 치부할게 아닌 향후 결과에 따라 심각한 경제적 파장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윤문길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아시아나항공은 자체 회생 자체가 불가능한 시기까지 왔다”며 “대한항공은 인수합병을 3년여간 추진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합병을 성사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윤 교수는 기업결합 당사자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정부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합병을 기정사실화 해야한다”면서 “그 이후 슬롯 및 노선 반납 등 국내 항공산업 손실에 대해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이 무산될 경우와 대한항공의 슬롯과 노선이 감소할 경우엔 그 여파로 외항사들이 물밀듯 들어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내 항공산업 전체의 타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 항공사의 장거리 노선이 감소하게 되면 항공편 공급 부족으로 항공요금 상승이 불가피하다. 이는 결국 소비자 편익이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러나 국토부는 3년이 지나도록 어떤 입장과 방침을 세웠는지 한번도 밝힌적이 없다고 윤 교수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