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안전성 평가센터서 업무협약

에너지공단은 ESS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기안전공사와 업무협약을 13일 체결했다. 사진=한국에너지공단 제공
에너지공단은 ESS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기안전공사와 업무협약을 13일 체결했다. 사진=한국에너지공단 제공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한국전기안전공사와 손을 잡았다. ESS는 분산전원의 핵심설비다.

에너지공단은 13일 전북 완주군 ESS 안정성 평가센터에서 전기안전공사와 ‘ESS와 분산에너지 산업 안전 확보와 활성화 방안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ESS는 분산전원의 핵심설비다. 분산전원은 40MW 이하 분산에너지나 500MW 이하 구역전기나 집단에너지 가운데 전력을 직접 생산하는 설비다. 분산전원으로 태양광, 풍력, SMR, 연료전지 등이 꼽히는데 태양광, 풍력의 경우 발전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ESS가 필수적이다.

한때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보급을 위해 ESS를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RPS)제도에 삽입해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5.0까지 줬다. ESS의 초기 투자 비용이 비싸기 때문이다. 현재도 1MWh에 5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한국에서 ESS는 잦은 화재사고로 한때 천덕꾸러기가 됐다. 사업자가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내세운 나머지 완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ESS 화재가 빈발했고 가중치도 더는 받지 못하게 됐다.

날씨에 따라 변동성이 심하지만 무탄소, 무연료, 무방사능이 장점인 태양광과 풍력이 한국에서 보급됨에 따라 업계의 노력으로 인해 ESS는 다시 부활했다. 게다가 배터리 기업들도 자동차용 전지 다음 캐시카우로 ESS를 선택했다.

따라서 에너지공단과 전기안전공사가 이번에 손잡은 이유는 다시 부활하는 ESS 산업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양 기관은 △ESS와 분산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 강구 △ESS 안전관리와 분산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한 협의회 운영 △재사용 배터리 안전 시스템 구축 기술 교류 △국내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활성화를 위한 민간기업 지원 △ESS와 분산에너지 기업 해외 진출을 위한 글로벌 정보 공유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영배 지역에너지복지이사는 ESS의 안정적인 보급을 위한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강구를 희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