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 원전 발전fid비중 35.6%, 석탄 10.3%, LNG 11.1%, 신재생 32.9%
2037~2038년 신규 대형원전 3기 필요성 인정, 공은 산업부에

11차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31일 실무안을 발표했다. 실무안에는 2035년 0.7GW SMR 실증, 2030년 재생에너지 72GW 등이 포함돼 있다. 신규 원전 건설 등 쟁점 사항에 대해 3기가 필요하다고 하면서도 세부 내용을 결정하는 일은 산업부에 넘겼다. 전체적으로 논란을 피해가는 모양새다. 사진은 서울복합화력발전소 부지 내 폐쇄된 석탄화력발전소의 모습.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11차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31일 실무안을 발표했다. 실무안에는 2035년 0.7GW SMR 실증, 2030년 재생에너지 72GW 등이 포함돼 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31일 서울 FKI타워에서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했다. 2038년 원전 발전량 비중을 35.6%까지 늘리고, 재생에너지는 2030년까지 3배 늘리기로 했다. 소형모듈원전(SMR)의 경우 2035년 이후 0.7GW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11차 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총괄위는 2038년 총 전력수요(목표수요)를 129.3GW로 잡았다. AI, 데이터센터 확산을 반영해 전력수요를 128.9GW(모형수요)까지 늘렸고, 반도체 클러스터용 전력수요 16.7GW를 추가했다. 다만 수요관리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전력수요를 16.3GW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같은해 실효용량 기준으로 157.8GW의 설비를 갖추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2030년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설비 72GW와 신규 발전설비 10.6GW를 포함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한국 정부가 지난해 두바이에서 열린 UN기후변화당사국협약 28차 총회(COP28)에서 약속한 3배 확충을 반영했다.

2037~2038년 설계수명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 12기를 양수·수소발전 등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원전의 경우 현재 건설 중인 새울 3·4호기, 신한울 3·4호기의 완공으로 2038년이면 30기가 운영될 것으로 봤다. 현재 한국은 26기를 운영하고 있다.

핵심은 신규 설비 10.6GW를 채우는 설비다. 총괄위는 2031~2032년 2.5GW의 신규설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LNG 열병합발전으로 채우겠다고 발표했다. 2033~2034년 필요한 1.5GW의 경우 ‘수소혼소 전환 조건부 열병합 또는 무탄소’물량으로 채울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인 발전원의 선정은 차기 12차 전기본에 미뤘다.

총괄위는 2035~2036년 필요한 신규설비를 2.2GW로 설정했다. 이 기간 중 현재 개발 중인 SMR을 상용화해 0.7GW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나머지 1.5GW의 경우 무탄소 입찰시장을 도입해 결정하라고 권고했다. 여기엔 수소전소터빈 등이 포함돼 있다. 총괄위는 무탄소에너지에 원전, 신재생, 수소·암모니아를 포함시키고 연료전지와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을 제외했다.

또 2037~2038년 4.4GW의 신규설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3기의 대형원전으로 채울 수 있다고 했다. 대신 정부가 사업자와 협의해 최적안을 도출하라고 권고했다.

이를 발전량비중으로 풀어보면 원전의 경우 2030년 31.8%에서 2038년 35.6%로, 같은 기간 석탄 17.4%에서 10.3%, LNG의 경우 25.1%에서 11.1%로, 신재생의 경우 21.6%에서 32.9%로 변동된다. 이 밖에 수소암모니아의 경우 2.4%에서 5.5%로 늘어나며 기타발전원의 비중도 1.7%에서 4.6%로 늘어난다.

총괄위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2038년까지 21.5GW의 장주기 ESS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양수발전의 경우 기존 우선협상대상자나 예비사업자가 진행하겠다는 물량 3.9GW 모두를 11차 전기본에 반영했다.

산업부는 당초 11차 전기본을 지난 2월 발표하려다 발표시기를 계속 늦춰오다 이날 발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