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부실 등으로 적자 이어져
'디지털 혁신' 등 위기 타개 열중
금융당국 압박에 하반기 전망 '흐림'
[데일리한국 최동수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고금리 장기화 영향 등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적자행진이 이어지고 있는 저축은행이 대안 찾기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수신 규모가 1년 새 10조원 이상 줄어들면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급등하는 연체율 등으로 인해 하반기 역시 실적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저축은행들은 건전성·수익성 악화를 타개하기 위한 디지털 혁신·경영 비용 축소 등의 방안을 멈추지 않고 있다. 특히 예금 대출을 모두 줄이고 주요 타깃층을 기존 저신용자에서 중·고신용자로 옮기는 영업 전략을 수정하면서 업황 반등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1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103조74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분기 대비 3조4042억원,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조2982억원이 줄었다. 저축은행 수신 잔액은 지난해 3분기 117조8504억원에서 2분기 연속 감소하면서 2021년 4분기(102조4435억원) 이후 9분기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여신도 역시 감소했다. 여신 잔액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101조3777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2조7159억원, 지난해 1분기보다 11조7962억원 줄었다. 분기별로 보면 2021년 4분기(100조5883억원)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고 2022년 3분기(116조2769억원)부터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2분기에도 저축은행 업계의 여·수신 잔액 감소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최근 내놓은 부동산 PF 구조조정 방안에 따라 토지 담보대출·브리지론 등 부실 사업장에 대한 충당금 부담이 커졌고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지면서 저축은행으로선 방안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관련 압박이 심해지면서 수익성 관리 차원의 경영 환경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라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방안 고심
건전성·수익성 악화에 고심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은 △디지털 전환 △경영 비용 축소 △부실채권 정리 등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저축은행들은 빅테크 및 인터넷 은행과의 경쟁을 위한 디지털화에 집중하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들은 다양한 디지털 금융 전용 상품을 내놓거나 대출 비교 서비스도 제공하면서 MZ세대와 외국인 잡기에 나섰다. 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저축은행도 있다.
저축은행업계의 이러한 보수적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까지는 어려운 업황이 예상되는 만큼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개선을 위해 인건비·광고비 등 경영 비용을 일제히 줄이며 경영 효율화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3분기 5대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경영활동 경비는 729억원으로 지난 분기(797억원) 대비 8.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963억원)과 비교하면 24.3% 줄었다.
또 점점 상승하는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저축은행들은 상반기에만 약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이 상반기에 매각을 추진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총 1조46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의 경우 추가 매각을 추진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나가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위기관리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덕분에 지난해보다는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금융당국 압박에 하반기 실적 반등 '불투명'
저축은행 업계는 하반기 영업 전략을 수정하면서 업황 반등을 앞당긴다는 계획이지만 금융당국이 대손충당금 적립을 지나치게 요구하면서 수익성 반등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1분기 기준 79개 저축은행 대손충당금적림률은 법정 기준인 100%를 초과(112.99%)했지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요구하고 있다. 부동산 PF 대출 부실과 연체율 상승을 우려해서다.
대손충당금은 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나중에 환입될 수 있지만 당장 비용 증가로 이어지며 실적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올해 저축은행 적자 규모는 2조2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실적 악화 우려에 저축은행 신용등급은 연이어 떨어지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키움예스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 신용등급을 기존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내렸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4월 KB·대신·다올·애큐온·페퍼저축은행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3월 JT친애저축은행 신용등급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로 내렸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당국의 요구는 이행하기 버거운 상황이다"라며 "업계에서 유예하는 안을 건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연이은 신용등급 하락...저축은행들 '건전성 리스크' 우려 고조
- 줄이고, 또 줄이고...저축은행들 여수신 10조 감소에 점포·임직원 등 긴축 돌입
- 저축은행 34곳 1년새 '88클럽' 탈락…원인은 부실채권 상승
- '모임통장' 등 돌파구 찾기 안간힘...저축은행들 "기필코 적자 탈출"
- 배구·당구·e스포츠...저축은행들 스포츠 통해 이미지 제고 나선다
- 뾰족한 수 없어 대표 바꿨지만...저축은행 올해 전망도 어렵다
- '19곳→4곳·14곳→7곳' 애큐온·웰컴 간판이 사라졌다...저축은행 점포 대폭 감소
- 5대은행 가계대출 급증…나흘새 2.2조↑
- 저축은행들 '사회공헌'에 진심...상생 통해 서민금융기관 이미지 구축
- 2년6개월 만에 100조 붕괴...저축은행 대출 감소세에 경쟁력 비상
- 상반기 손실 4000억원...저축은행들 적자 지속에 건전성 관리 특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