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최용구 기자] 중국이 철강 공급 능력 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과잉 생산 완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산업정보기술부는 지난달 23일부터 철강 생산능력 교체 중단을 지시했다.
생산능력 교체에 관한 신규 계획 발표를 전역에서 중단하고 이를 어길 시엔 불법으로 간주한다. 용량 교체 및 증설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다.
업계는 중국이 철강업 구조 개혁의 강도를 한차원 높인 것으로 보고 있다. 양보다는 질적인 성장의 방침을 재차 표명했단 해석도 있다.
중국은 지난 2013년 생산과잉 해결의 취지로 철강 시설의 신규 건립을 금지한 바 있다. 2015년과 2016년에도 비슷한 조치를 시행했지만 생산량 조절의 효과는 미미했다.
더욱이 중국 내 수요 침체로 밀려난 물량이 국내 유입되면서 저가 수출 공세로 이어졌다.
국내 업계는 기대를 표하면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가 감산에 나섰다고 해도 정책적인 효력이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내수 지표도 좋지 않다. 조선업이 호황기에 접어들었고 자동차 시장은 견조하지만 건설업에선 장기 부진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철강 불황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는 않다”며 “기본적으로 건설 경기가 살아야 된다. 중국 저가 리스크도 언제 벗어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중국발 감산 기조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이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수요 파악이 어려워 관련 설비 투자에도 제동이 걸리는 점도 문제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감산은 희망을 걸어볼 수 있는 하나의 포인트”라면서도 “철강 등 소재 산업은 수요처에서 변해줘야 되고 또 대규모 공급을 위해선 설비가 전환돼야 하는데 현재로선 파격적인 전환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