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데일리한국 박재찬 기자] 우리나라의 최근 인플레이션이 식품, 에너지 등 수입 물가 상승과 원·달러 환율 상승,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상승 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산업연구원의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기준 33%가 넘고, 수입물가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율은 73~8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비료, 농산물 등 식품과 에너지 등 수입 물가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주도하는 비용 인상형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는 의미로 분석했다. 수입 물가의 상승에는 국제 가격뿐 아니라 환율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는 올해 상반기 평균 전체 수입 물가 상승의 약 3분의 1가량이 환율 상승에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작년 하반기 이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와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주요 품목별로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상승 폭과 국내 가격 상승 폭을 비교해 보면 몇몇 품목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석탄 제품은 가격 상승률이 비용 상승률보다 30%포인트(p) 이상 높아 격차가 가장 컸다.
반면,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전력과 가스는 가격 상승률이 비용 상승률보다 20%포인트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의 비중이 높아 수입 에너지 가격 변화에 생산자 물가가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입물가가 모든 품목에서 10% 상승한 경우보다 수입 에너지 가격이 상승해 전체 수입물가가 10% 상승한 경우에 국내 생산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약 1.5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물가에 대한 우리나라 국내 물가의 민감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수입물가와 생산자 물가 간의 교차상관계수는 1990∼2007년 0.830에서 2008∼2022년 0.936으로 높아졌고,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 간 교차상관계수는 같은 기간 0.336에서 0.816으로 늘었다.
보고서는 우리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아진데다 글로벌화·디지털화·금융화로 충격의 전파 속도가 빨라졌고, 금융위기 이후 국제유가를 비롯한 수입물가의 변동성에 확대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또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기때문에 원화 기준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외환 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나타난 바 있다.
다만 돌발 변수가 없을 경우 국제유가 진정과 세계 경기 둔화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인플레이션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주요국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 둔화, G2(미국, 중국)의 헤게모니 갈등 심화, 기후 변화 대응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향후 물가 불안이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 확진자 8만명대 재유행 감소세...위중증 더 늘어
- 한기정 공정위원장 후보자, 금융위 자문위원장과 보험사 사외이사 겸직
- 저축은행 대출 35% ‘MZ세대’...부채 관리 및 지원 방안 시급
- 한국 상반기 대미 무역흑자 29조...200여 국가 중 9위, 5계단↑
- 파월 "쉬어갈 지점 아냐"…높은 금리 수준 유지 시사
-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빚조정 10월 시작...순부채 60~80% 감면
- 이재명, ‘역대급 득표율’ 당대표 당선...낮은 투표율·중도층 무관심 ‘과제’
- 흐리고 일부 지역 빗방울...전국 20도 내외 서늘
- 대통령실 “이재명 신임 대표 선출 축하...현안 해결 협력하길 기대”
- 이재명 “국민의 삶 반발짝이라도 전진할 수 있다면 정부여당에 협력”
- 오후 9시까지 확진자 4만1930명...한풀 꺾인 확산세
- 尹대통령 "나라 빚 1000조 육박하지만 쓸 땐 확실하게 쓰겠다"
- 파월 '매파' 발언에…원·달러 환율 장중 1349원 돌파
- 8월 소비자물가 5.7%↑…7개월 만에 상승세 꺾여